엄지 근육들(pollicis muscles)
엄지손가락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엄지손가락은 정교한 손 동작의 핵심으로, 총 8개의 근육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근육은 엄지의 벌림, 모음, 굽힘, 폄, 맞섬 등의 움직임을 조절하며, 각각의 기능은 매우 섬세하고 상호 협조적이다.

1. 긴엄지폄근 (장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Longus)
이는곳: 자뼈 뒷면 (Posterior surface of ulna), 뼈사이막 (interosseous membrane)
닿는곳: 엄지 끝마디뼈 바닥 (Base of distal phalanx of thumb)
기능: 엄지의 폄 (extension of the thumb), 특히 끝마디의 폄
긴엄지폄근은 엄지를 뒤로 젖히는 데 필수적인 근육으로, 깊은 위치에 존재하며 짧은엄지폄근보다 더 먼쪽 마디까지 움직임을 담당한다. 이 근육이 경직되거나 약해지면 엄지의 폄 동작이 제한되며, 특히 정밀한 집기 동작에서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2. 짧은엄지폄근 (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이는곳: 노뼈 뒷면 (Posterior surface of radius), 뼈사이막 (interosseous membrane)
닿는곳: 엄지 몸쪽마디뼈 바닥 (Base of proximal phalanx of thumb)
기능: 엄지의 몸쪽마디 폄 (extension of the proximal phalanx of the thumb)
짧은엄지폄근은 손가락을 곧게 펴는 데 도움을 주며, 특히 엄지의 중심적인 폄을 유도한다. 긴엄지폄근과 함께 작용하며, 손목 외측 통증과 연관된 드퀘르뱅 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긴엄지벌림근 (장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Longus)
이는곳: 노뼈와 자뼈의 뒷면, 뼈사이막 (Posterior surfaces of radius and ulna, interosseous membrane)
닿는곳: 첫째 손허리뼈 바닥 (Base of first metacarpal bone)
기능: 엄지의 벌림 (abduction of the thumb), 손목의 폄
긴엄지벌림근은 엄지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역할을 하며, 일상적인 집기 동작과 스마트폰 사용 등에서 자주 쓰인다. 짧은엄지폄근과 함께 드퀘르뱅 증후군의 주된 원인이 되는 근육이다.
4. 짧은엄지벌림근 (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이는곳: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 손목뼈 일부 (scaphoid and trapezium)
닿는곳: 엄지 몸쪽마디뼈 바닥 (Base of proximal phalanx of thumb)
기능: 엄지의 앞쪽 벌림 (palmar abduction of the thumb)
짧은엄지벌림근은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손바닥 쪽에서 엄지를 앞쪽으로 들어올리는 움직임에 관여한다. 이 근육의 위축은 정중신경 압박의 징후일 수 있으며, 특히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에서 위축이 잘 나타난다.
5. 엄지맞섬근 (무지대립근, Opponens Pollicis)
이는곳: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 큰마름뼈(trapezium)
닿는곳: 첫째 손허리뼈의 가쪽면 (Lateral side of first metacarpal bone)
기능: 엄지의 맞섬(opposition of the thumb)
엄지맞섬근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의 마주보는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데 핵심적인 근육이다.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정밀한 집기와 도구 조작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의 약화는 손의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6. 긴엄지굽힘근 (장무지굴근, Flexor Pollicis Longus)

이는곳: 노뼈 앞면 (Anterior surface of radius), 뼈사이막 (interosseous membrane)
닿는곳: 엄지 끝마디뼈 바닥 (Base of distal phalanx of thumb)
기능: 엄지 끝마디의 굽힘 (flexion of the distal phalanx of the thumb)
긴엄지굽힘근은 엄지의 정밀한 굽힘 동작을 수행하며, 깊은 위치에 존재한다. 손가락 끝을 구부리는 동작에서 강하게 작용하며, 이 근육의 과사용은 엄지 건초염이나 과사용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7. 짧은엄지굽힘근 (단무지굴근, Flexor Pollicis Brevis)
이는곳: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 큰마름뼈(trapezium)
닿는곳: 엄지 몸쪽마디뼈 바닥 (Base of proximal phalanx of thumb)
기능: 엄지 몸쪽마디의 굽힘 (flexion of the proximal phalanx of thumb)
짧은엄지굽힘근은 얕은 부분은 정중신경, 깊은 부분은 자신경의 이중 지배를 받는다. 엄지를 구부리는 주요 역할을 하며, 이 근육의 경직은 엄지 움직임 제한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8. 엄지모음근 (무지내전근, Adductor Pollicis)

이는곳: 손허리뼈 2, 3번 (2nd and 3rd metacarpals), 갈고리뼈(hamate), 큰마름뼈(capitate)
닿는곳: 엄지 몸쪽마디뼈 바닥 (Base of proximal phalanx of thumb)
기능: 엄지의 모음 (adduction of the thumb)
자신경(척골신경, uln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쥐거나 잡는 동작에서 엄지모음근을 우세하게 사용하면 손바닥의 근육통이 쉽게 발생하게 되고, 손목손허리관절(수근중수관절, carpometacarpal joint)의 아탈구를 초래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동작은 엄지와 검지 사이 공간을 좁히며 물건을 잡거나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엄지모음근의 주된 사용으로 근육이 뻣뻣해지거나 단축된다면, 엄지의 벌림이 제한될 수 있다.
9. 드퀘르뱅 증후군 (De Quervain's Syndrome)
드퀘르뱅 증후군은 긴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과 짧은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brevis)의 건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반복적인 손목 사용이나 스마트폰 사용, 육아 중의 손 동작이 원인이 되며, 손목의 외측 통증과 함께 엄지 움직임이 제한된다. 치료를 위해서는 손목 사용의 제한,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필요한 경우 주사나 수술이 고려된다.
10. 마무리
엄지손가락의 근육들은 손 기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이다. 특히 반복적인 동작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한 근육의 과사용은 통증과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있는 손 사용과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