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엄지모음근 및 짧은엄지굽힘근 (모지내전근, 단모지굴근,Adductor Hallucis and Flexor Hallucis Brevis: An Evidence-Based)

안아프게 2025. 10. 18. 08:31
반응형

 

! 중요 면책 조항 (Disclaimer for Blog)

이 문서는 물리치료 전문가의 관점에서 근거에 기반하여 작성된 전문 보고서이다. 제시된 해부학적 지식, 증상 패턴 및 운동 전략은 정보 제공 목적만을 가지며, 개인의 의학적 진단, 치료, 또는 물리치료사의 직접적인 관리대신할 수 없다. 독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전문가의 정확한 진료 및 평가를 받은 후, 이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 계획을 따라야 한다. 이 정보를 사용한 자가 진단이나 자가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해 본 문서는 책임지지 않는다.


I. 서론: 발 내재근 역학의 임상적 중요성

발 내재근(Intrinsic Foot Muscles, IFM)은 발의 미세 조정 및 동적 안정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신체의 상부 구조물에 전달되는 지면 반발력(Ground Reaction Force)을 흡수하고 재분배하는 데 필수적이다.1 본 보고서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엄지모음근(모지내전근, Adductor Hallucis, AddH)과 짧은엄지굽힘근(단모지굴근, Flexor Hallucis Brevis, FHB)은 엄지발가락(Hallux)의 발허리뼈발가락관절(중족지절관절, Metatarsophalangeal, MTP)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내재근이다.1 이 근육들의 기능 저하 및 불균형은 무지외반증(Hallux Valgus, HV), 앞발 통증(Forefoot Pain), 걸음 효율성 감소 등 광범위한 임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1 따라서 이들 근육의 정밀한 해부학적 지식, 운동학적 역할, 그리고 근거 기반의 평가 및 재활 전략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II. 해부학적 특징 및 기능적 연관성 (Anatomical Features and Functional Linkages)

<엄지모음근, 짧은엄지굽힘근>

A. 엄지모음근 (Adductor Hallucis, AddH)

엄지모음근은 발바닥의 심부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발의 가로 구조를 지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3 이 근육은 구조적으로 두 개의 명확한 갈래로 나뉘며, 이는 발의 복잡한 3차원적 안정화에 기여한다.

1. 구조적 특징, 기시, 정지 및 작용

엄지모음근(AddH)은 **빗갈래(Oblique Head)**와 **가로갈래(Transverse Head)**로 구성된다.

  • 이는곳:
  • 빗갈래(Oblique Head): 2번부터 4번 중족뼈의 근위부에서 광범위하게 시작한다.4
  • 가로갈래(Transverse Head): 3번부터 5번 발가락 발허리뼈발가락관절 발바닥 인대와 깊은 가로중족뼈 인대(MTP ligaments)에서 기시한다.4
  • 닿는곳:
  • 두 갈래는 합쳐져 엄지발가락 몸쪽발가락 가쪽 기저부에 정지하며, 이 정지부는 짧은엄지굽힘근(FHB)의 가쪽갈래 힘줄과 종아리 종자뼈(Fibular sesamoid)와 연결(Junction)을 형성한다.
  • 주요 작용:
  • 엄지발가락을 모음(Adduction)시킨다.
  • 발허리뼈발가락관절  굽힘을 보조한다.
  • 발의 가로활 및 세로활을 지지하는 주요 작용을 수행한다.

2. 신경 및 혈관 지배

엄지모음근은 가쪽 발바닥 신경(Lateral Plantar Nerve)의 깊은 가지(Deep branch)에 의해 신경 지배를 받는다. 4 가쪽 발바닥 신경의 지배는 엄지모음근(AddH)의 활성화가 발 가쪽부의 근육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됨을 보여준다.

B. 짧은엄지굽힘근 (Flexor Hallucis Brevis, FHB)

짧은엄지굽힘근은 발바닥의 세 번째 층에 위치하며, 엄지발가락의 중족지관절(MTP)에서 굽힘을 담당한다.

1. 구조적 특징, 기시, 정지 및 작용

짧은엄지굽힘근(FHB)은 안쪽갈래와 가쪽갈래로 나뉘어 엄지발가락 근위지골의 안쪽 및 가쪽 기저부에 정지한다.6

  • 이는곳:
  • 입방뼈(Cuboid)와 가쪽 쐐기뼈(Lateral Cuneiform)의 발바닥 쪽에서 시한다.6
  • 닿는곳 및 종자뼈 복합체:
  • 안쪽갈래: 엄지발가락 근위지골 안쪽 기저부에 정지하며, 정강이 종자뼈(Tibial sesamoid)에 부착되고 엄지벌림근(Abductor Hallucis) 힘줄과 함께 복합체를 이룬다.
  • 가쪽갈래: 엄지발가락 근위지골 가쪽 기저부에 정지하며, 종아리 종자뼈(Fibular sesamoid)에 부착되고 엄지모음근(AddH) 힘줄과 함께 복합체를 이룬다.
  • 주요 작용:
  • 엄지발가락 중족지관절의 굽힘(Flexion)을 담당한다.6
  • 종자뼈 복합체를 안정화한다.8
  • 걸음의 밀어내기 추진력(Push-off)을 보조한다.5

2. 신경 지배의 임상적 변이

짧은엄지굽힘근(FHB)은 주로 안쪽 발바닥 신경(Medial Plant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6 그러나 Hallopeau 신경(가쪽 발바닥 신경의 가지)이 짧은엄지굽힘근(FHB)에 공급하며 안쪽 발바닥 신경과 연결을 형성하는 해부학적 변이가 보고되기도 한다. 이러한 신경 지배의 변이는 발의 신경 포착 증후군(Nerve Entrapment Syndromes) 진단 및 치료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짧은엄지굽힘근(FHB)의 안쪽갈래와 가쪽갈래가 각각 엄지벌림근(AbH)과 엄지모음근(AddH)의 힘줄과 통합되어 종자뼈를 포위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이 근육이 단순한 굽힘근을 넘어선 동적 지렛대(Dynamic Fulcrum)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이 구조는 중족지관절(MTP) 하방에서 지면 반발력을 분산하고 엄지발가락의 회전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결정적이며, 짧은엄지굽힘근(FHB)의 기능 부전은 종자뼈염(Sesamoiditis)과 같은 병변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8

III. 운동학적 특징 및 걸음 생체역학 (Kinematic Features and Gait Biomechanics)

1. 활 안정화 및 걸음 주기 역할

엄지모음근(Add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은 발의 내재적인 안정화 시스템의 핵심이며, 특히 걸음 주기 중 발의 활 구조를 능동적으로 지지한다.1 두 근육 모두 세로활(Longitudinal Arch)과 가로활(Transverse Arch)을 지지하는 기능이 있다.9

엄지모음근(AddH)의 기능은 걸음의 **밀어내기 단계(Push-off phase)**에서 가장 활발하다. 이 단계에서 엄지모음근(AddH)은 가로활을 안정화하고 중족뼈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신체 무게를 엄지발가락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발 구조를 견고하게 만든다.9 짧은엄지굽힘근(FHB)은 엄지발가락 굽힘을 보조하여 밀어내기 추진력을 완성하는 데 기여한다.5

2. 무지외반증(HV) 병의 진행 기전에서의 근육 불균형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가쪽으로 편위되는 진행성 변형이며, 엄지모음근(AddH)과 그 길항근인 엄지벌림근(AbH) 사이의 근력 불균형이 변형을 가속화하는 핵심 기전이다.1

엄지모음근(AddH)은 엄지발가락의 가쪽 기저부에 정지하며, 그 수축은 엄지발가락을 가쪽으로 잡아당기는 주된 변형력을 제공한다. 무지외반증 환자의 재활 목표는 엄지모음근(AddH)의 상대적인 과활성화를 억제하고, 엄지발가락을 안쪽으로 당겨 구조를 지지하는 엄지벌림근(AbH)의 강도와 활성화 수준을 회복시켜 두 근육의 활성화 비율을 균형 있게 맞추는 데 있다.11 연구에 따르면, 무지외반증(HV) 변형 환자에서 엄지벌림근(Ab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의 근육 수행 능력 저하가 관찰된다.8

3. 기능 회복과 해부학적 교정의 관계

무지외반증은 복잡한 골격 및 연부 조직 변형이므로, 현재까지 수술만이 해부학적 변형(각도)을 근본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수술 후에도 재발률이 높다.13 이러한 상황에서 물리치료의 역할이 재조명된다.

근육 강화 운동은 변형 자체를 되돌리지는 못하지만,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련 걸음 장애를 개선하여 환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수술적 관점에서 볼 때, 엄지모음근(AddH) 힘줄을 재부착하는 기법이 비재부착 기법보다 방사선학적 정렬(중족뼈 사이 각도, Intermetatarsal Angle) 유지에 통계적으로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일상생활 활동 기능 임상 결과(FAAM for ADL)는 최소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MCID)를 달성하지 못했다.2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 개입의 우선순위가 단순히 엑스레이 상의 각도를 개선하는 것보다는, 엄지모음근(Add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을 포함한 발 내재근의 기능적 강도와 지구력을 회복하여 걸음 효율성과 동적 안정성을 높이는 데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IV. 통증 및 임상적 증상 패턴 (Pain Referral and Clinical Symptomology)

엄지모음근(Add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의 근막 유발점 및 기능 장애는 앞발에 국한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정확한 국소 검진과 감별 진단이 필수적이다.

1. 엄지모음근(AddH) 유발점 증상

엄지모음근(AddH)에 형성된 유발점은 특정한 통증 패턴과 증상을 유발한다.

  • 통증 위치 및 양상: 환자는 주로 발바닥 볼 부위, 엄지발가락의 안쪽, 때로는 둘째 발가락 쪽으로 방사되는 타는 듯하거나 쑤시는 통증(Burning or Aching Pain)을 경험할 수 있다.14 발허리뼈머리(중족골두, metatarsal head)에 방사통과 부종감, 저림을 느낀다. 발바닥 감각 저하와 휴식시에도 통증이 나타난다.
  • 특징적 호소: 발 밑에 **"조약돌(Pebble)"**이 있는 것 같은 이물감이나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며 14, 이는 신경종(Morton’s neuroma)과 유사하여 감별 진단이 요구된다.14
  • 악화 요인: 꽉 끼거나 좁은 신발(High heels)을 신을 때, 그리고 장시간 서 있거나 걷고 난 후 통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14
  • 안쪽과 가쪽 발바닥 신경을 폐색 할 수 있다. Morton's foot 은 엄지모음근이 늘어나거나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편평발(flat foot)은 엄지모음근에 문제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2. 짧은엄지굽힘근(FHB) 기능 장애 및 유발점 증상

짧은엄지굽힘근(FHB) 유발점은 엄지발가락의 굽힘 기능 및 활 지지 역할을 저해하여 여러 증상을 유발한다.

  • 통증 위치 및 양상: 통증은 발볼, 엄지발가락, 그리고 발활 부위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무지외반증 통증, 통풍(Gout), 엄지 강직증(Hallux Rigidus) 또는 신경통으로 오인될 수 있다. 엄지 발가락 발허리뼈머리에 부종과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 기능 장애: 걸음이나 달리기 중 엄지발가락을 밀어내는 동작(Pushing Off) 시 통증 및 약화가 발생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임상 증상 중 하나이다. 통증으로 인해 걸을 때 절룩거리게 된다.
  • 기타 증상: 장시간 서 있거나 활동 후 엄지발가락에 쥐가 나거나 굳어지는 증상, 혹은 신경병증(Neuropathy)으로 오인될 수 있는 작열감이나 따끔거림이 나타날 수 있다. 엄지발가락 부위 피부변색이 나타나고 심하면 발톱색깔이 변할 수 있다.

3. 짧은엄지굽힘근(FHB) 기능 장애와 종자뼈염의 감별

짧은엄지굽힘근(FHB)의 두 힘줄이 종아리 종자뼈와 복합체를 이루기 때문에, 짧은엄지굽힘근(FHB)의 근육 손상 또는 기능 장애는 종자뼈염(Sesamoiditis)과 증상이 매우 유사하다.5 임상적으로 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짧은엄지굽힘근(FHB) 기능 장애의 징후: 근육 자체의 손상이 있는 경우, 엄지발가락을 최대 폄(Extension)시킬 때 발볼 부위에 통증이 유발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근육이 과도하게 신장되거나 장력이 가해질 때 통증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근육 병변 패턴을 따른다.
  • 종자뼈염(Sesamoiditis)의 징후: 종자뼈 자체에 국한된 명확한 누름 통증이 특징적이다.12 만성적인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골절, 또는 뼈 괴사(Osteonecrosis)의 경우, MRI 상 뼈 속질 부종 소견이나 CT 상 굳음증(Sclerosis)이 나타나며, 이는 짧은엄지굽힘근(FHB)의 순수한 근육 병변과는 구별되는 구조적 손상을 의미한다.15

V. 임상 평가 지침 (Clinical Assessment Protocols)

발 내재근(IFM)의 힘과 기능 평가는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를 위해 정량적 방법과 숙련된 수동 검사를 병행해야 한다.

1. 손 근력 검사 (Manual Muscle Testing, MMT)

손 근력 검사(MMT)는 임상에서 발 내재근(IFM)의 기능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평가자의 숙련도에 의존한다.16

  • 짧은엄지굽힘근 (FHB) 손 근력 검사(MMT): 환자를 앉히거나 눕혀 발의 발바닥 쪽을 노출시키고, 환자에게 엄지발가락을 최대한 굽힘(Curl)하도록 요청한다. 검사자는 발의 발등 쪽을 안정화하고 엄지발가락의 폄 방향으로 저항을 가하여 근력을 평가한다.17
  • 엄지모음근 (AddH) 손 근력 검사(MMT): 엄지모음근(AddH)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엄지발가락의 굽힘과 모음(Adduction)에 동시에 저항을 가하여 근육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7

2. 정량적 힘 측정 및 영상 진단

손 근력 검사(MMT)의 한계를 보완하고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힘 측정이 필요하다. 휴대용 다이나모미터(Handheld Dynamometer, HHD)나 최근 개발된 저가형 발 내재근(IFM) 다이나모미터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등도에서 우수한 수준의 평가자 내/평가자 간 신뢰도(Intra-rater/Inter-rater Reliability, ICC = 0.73 - 0.95) 및 타당도를 입증했다.19 이러한 도구들은 임상 환경에서 발 내재근(IFM) 힘 변화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MRI는 발 내재근(IFM)의 형태학적 평가를 위한 골드 스탠다드이며 , T2 MRI는 특정 재활 운동 후 엄지벌림근(AbH), 짧은엄지굽힘근(FHB), 엄지모음근(AddH)을 포함한 발 내재근의 활성화 정도(T2 값 증가)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사용되어 운동 처방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1 휴대용 초음파 장치는 MRI와 높은 일치도를 보여 근육의 가로 단면 넓이(Cross-sectional Area, CSA) 변화를 추적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된다.

다음 표는 엄지모음근과 짧은엄지굽힘근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Table 1: 엄지모음근 및 짧은엄지굽힘근의 해부학 및 기능 비교

 

특징 엄지모음근 (Adductor Hallucis, AddH) 짧은엄지굽힘근 (Flexor Hallucis Brevis, FHB)
기시 2-4번째 중족뼈 근위부 (빗갈래), 3-5번째 중족지관절 인대 (가로갈래) 입방뼈 및 가쪽 쐐기뼈 발바닥 쪽
정지 엄지발가락 근위지골 가쪽 기저부 (종아리 종자뼈 포함) 엄지발가락 근위지골 안/가쪽 기저부 (정강이/종아리 종자뼈 포함)
신경 지배 가쪽 발바닥 신경의 깊은 가지 안쪽 발바닥 신경 (Hallopeau 신경 변이 가능)
주요 작용 엄지발가락 모음, 가로활 및 세로활 지지 엄지발가락 중족지관절 굽힘, 종자뼈 복합체 안정화, 밀어내기 보조
무지외반증(HV) 연관성 엄지발가락 가쪽 견인력 제공, 변형 심해짐 근육 수행 능력 저하 및 엄지발가락 불안정성 증가 8

VI. 근거 기반 관리 및 재활 전략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엄지모음근(AddH) 및 짧은엄지굽힘근(FHB) 기능 장애의 관리는 급성 통증 조절, 근막 유발점 해소, 그리고 이들 근육의 선택적 강화 및 동적 안정성 회복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접근 방식을 요구한다.

1. 치료 원칙 및 유발점 해소

재활의 첫 단계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꽉 끼는 신발이나 하이힐 착용을 피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8 통증의 주원인이 근막 유발점인 경우, 유발점 제거 기법(예: 수동 이완, 마른 바늘 치료)을 통해 엄지모음근(AddH) 또는 짧은엄지굽힘근(FHB)의 긴장된 근섬유 다발(Taut bands)을 해소해야 한다.20 근육을 강화하기 전에 유발점과 방사통을 먼저 제거하여 근육이 정상적인 이완 및 수축 능력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20

2. 핵심 근거 기반 발 내재근(IFM) 강화 운동

발 내재근 강화 운동은 균형 능력과 근력을 개선하며 , 특히 무지외반증 환자의 재활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 발 오므리기 운동(Short Foot Exercise, SFE):
    발 오므리기 운동(SFE)은 발뒤꿈치와 앞발을 지면에 유지한 채 발의 길이를 단축시켜 안쪽 세로활을 능동적으로 활성화하는 운동이다.21 T2 MRI를 이용한 연구 결과, 발 오므리기 운동(SFE)은 엄지모음근(Add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을 포함하여 평가된 모든 발바닥 내재근에서 16.7%에서 34.9%에 이르는 활성화 증가를 보였다.1 이 운동은 전반적인 활 안정화 능력과 발 내재근(IFM)의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기본적인 재활 단계이며, 다른 발 내재근 운동에 비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 발가락 벌리기 운동(Toe Spread Out, TSO) Exercise:
    발가락 벌리기 운동(TSO)은 발가락을 최대한 넓게 벌리는 동작이다. 무지외반증 재활에 있어 이 운동의 중요성은 엄지모음근(AddH)의 길항근인 엄지벌림근(AbH)을 선택적으로 강화하는 데 있다.11 연구에 따르면 발가락 벌리기 운동(TSO)은 발 오므리기 운동(SFE)에 비해 엄지벌림근(AbH)을 훨씬 더 우수하게(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의 약 45% 더 높은 활성화율)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3 따라서 발가락 벌리기 운동(TSO)은 엄지모음근(AddH)의 가쪽 견인력에 길항하는 엄지벌림근(AbH)의 기능을 특이적으로 회복시켜, 무지외반증의 예방 또는 초기 단계 변형 관리에 매우 강력하게 권장되는 전략적 운동이다.23
  • 짧은엄지굽힘근(FHB) 특이적 강화 (수건 말아 올리기):
    수건 말아 올리기(Towel Curls)는 앉거나 서서 발가락을 이용하여 수건을 발 밑으로 천천히 끌어당기는 운동으로, 짧은엄지굽힘근(FHB)을 포함한 족지 굽힘근을 강화한다.18 이는 걸음 중 엄지발가락의 굽힘 능력과 추진력(Push-off)을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18 또한, 저항 밴드를 엄지발가락에 걸고 굽힘 또는 벌림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근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18

3. 보조 요법 및 동적 안정화 훈련

재활 프로그램은 단순한 힘 강화 외에도 발의 동적 제어 및 균형 회복을 포함해야 한다.

  • 불안정한 표면 훈련: 감각 운동 원반(Sensorimotor Disc)과 같은 불안정한 표면 위에서 체중 부하 운동을 수행하는 것은 고유수용 감각(Proprioception)을 향상시키고 발 내재근(IFM)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동적 균형 능력을 개선한다.
  • 근위부 유연성 및 균형 확보: 장딴지근 및 가자미근의 유연성 제한은 걸음 중 발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4 따라서 아킬레스 힘줄(Achilles Tendon) 및 종아리 근육의 유연성 운동을 재활 계획에 통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4
  • 테이핑: 무지외반증 환자에게 멀리건 테이핑(Mulligan Taping)과 같이 엄지발가락의 정렬을 안쪽으로 교정하는 보조적인 개입은 엄지모음근(AddH)의 활성도를 낮추고 엄지벌림근(AbH)의 활성도를 높여 근육 불균형을 즉각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2

다음 표는 엄지모음근 및 짧은엄지굽힘근 관리를 위한 핵심 근거 기반 운동 지침이다.

Table 2: 엄지모음근 및 짧은엄지굽힘근 관리를 위한 근거 기반 운동 프로토콜

운동 명칭 주요 타겟 근육 기전 및 임상적 목표 근거 기반 효과
발 오므리기 운동 (SFE) 모든 발 내재근 (AddH, FHB 포함) 발의 길이 단축을 통한 활 높이 유지 및 전반적 발 안정성 확보. T2 MRI 연구 기반, 모든 발 내재근의 광범위한 활성화 증가 1
발가락 벌리기 운동 (TSO) 엄지벌림근 (AbH) 엄지모음근(AddH)의 가쪽 견인력에 대한 길항근 강화. 무지외반증(HV) 초기 변형 억제. 엄지벌림근(AbH) 활성화율이 발 오므리기 운동(SFE) 대비 유의하게 우수함 23
수건 말아 올리기 (Towel Curls) 짧은엄지굽힘근 (FHB) 및 족지 굽힘근 중족지관절 굽힘 근력 강화 및 걸음 시 추진력(Push-off) 능력 개선. 임상적 합의에 따라 족지 굽힘근을 분리하여 강화 18
불안정 표면 훈련 전반적인 발 내재근의 지구력 및 동적 제어 걸음 중 자세 균형 및 근육 신경 제어 개선.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동적 균형 개선 효과 입증

4. 도수 관리 방법

엄지발가락 중족지관절 주변의 **압통점**을 비롯해 관절 주변의 주요 혈자리에 시술하여 주변부 근육을 이완시키고 염증을 완화한다. 아래혈자리는 엄지모음근과 엄지발가락굽힘근에 위치하여 관리에 도움이 되는 혈자리이다.

발 내재근 기능 및 전신 순환 개선 혈자리:

  • 태충혈(太衝穴):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 뼈가 만나는 오목한 곳에 위치한다. 간 경락에 속하며 근육과 인대를 주관하는 간의 기능을 조절하여 피로 해소와 근육 대사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 주변의 국부적인 기혈 흐름을 강화하는 중요한 혈자리이다.
  • 공손혈(公孫穴): 엄지발가락 발허리뼈(중족골) 안쪽의 뒤쪽 오목한 곳에 위치한다. 비(脾) 경락에 속하며 발바닥의 통증과 소화기 계통의 기능을 조절하며, 태충혈과 함께 자극할 경우 무지외반증 관련 통증 완화에 즉각적인 진통 효과를 기대하기도 한다.

VII. 결론 및 임상적 요약

엄지모음근(Add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은 발의 생체역학적 기능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며, 이들의 기능 장애는 무지외반증, 앞발 통증 및 걸음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엄지모음근(AddH)은 가로활을 안정화하고 짧은엄지굽힘근(FHB)은 종아리 종자뼈 복합체를 통해 효율적인 추진력을 제공하는 동적 시스템의 일부이다.

전문 물리치료사는 이 두 근육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손 근력 검사(MMT)와 정량적 동력계 측정을 통합해야 한다. 관리 전략의 핵심은 통증 유발점 해소 후 힘 강화에 있으며, 특히 무지외반증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엄지벌림근(AbH)과 엄지모음근(AddH)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발가락 벌리기 운동(TSO)**을 통해 엄지벌림근(AbH)을 선택적으로 강화하고, **발 오므리기 운동(SFE)**을 통해 전반적인 발 내재근(IFM) 힘을 향상시키는 것이 근거에 기반한 최적의 재활 접근법으로 간주된다. 궁극적으로 엄지모음근(AddH)과 짧은엄지굽힘근(FHB)에 대한 성공적인 관리는 단순한 통증 완화 단계를 넘어 환자의 동적 균형 능력과 앞발 기능성(Push-off efficiency)을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참고 자료

  1. Treatment of Progressive First Metatarsophalangeal Hallux Valgus Deformity: A Biomechanically Based Muscle-Strengthening Approach |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https://www.jospt.org/doi/10.2519/jospt.2016.6704
  2. Intrinsic Foot Muscle Activation During Specific Exercises: A T2 Tim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094843/
  3. Adductor Hallucis - Physiopedia,  https://www.physio-pedia.com/Adductor_Hallucis
  4.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Foot Muscles - StatPearls ...,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9705/
  5. Sesamoid Bones: Normal and Abnormal - Radsource, https://radsource.us/sesamoid-bones/
  6. Flexor Hallucis Brevis - VH Dissector,  https://www.vhdissector.com/lessons/surface-palpation-guide/ankle_foot/muscles/flexor_hallucis_brevis.html
  7. Which Is the Best Exercise for Abductor Hallucis Activation in Hallux Valgus? A Comparison Study for New Rehabilitation Perspectives - MDPI,  https://www.mdpi.com/2076-3417/15/7/3523
  8. Flexor Hallucis Brevis - Physiopedia, https://www.physio-pedia.com/Flexor_Hallucis_Brevis
  9. Reliability of direct and indirect measures of intrinsic foot muscle strength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39571476/
  10. A Novel Intrinsic Foot Muscle Strength Dynamometer Demonstrates Moderate-To-Excellent Reliability and Validity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99096/
  11. Treatment of Progressive First Metatarsophalangeal Hallux Valgus Deformity: A Biomechanically Based Muscle-Strengthening - jospt,  https://www.jospt.org/doi/pdfplus/10.2519/jospt.2016.6704
  12. Flexor Hallucis Brevis Trigger Points - Morningside Acupuncture NYC,  https://www.morningsideacupuncturenyc.com/flexor-hallucis-brevis-trigger-points
  13. Painful sesamoid of the great toe - PMC,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017307/
  14. Evidence for Intrinsic Foot Muscle Training in Improving Foot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84881/
  15. A Novel Intrinsic Foot Muscle Strength Dynamometer Demonstrates Moderate-To-Excellent Reliability and Validity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37547834/
  16. Intrinsic foot muscle strengthening may help to improve toe strength,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and reduce the risk of falls in older adults | McMaster Optimal Aging Portal,  https://www.mcmasteroptimalaging.org/full-article/es/intrinsic-foot-muscle-strengthening-improve-toe-strength-balance-functional-3206
  17. Adductor Hallucis Trigger Points - Morningside Acupuncture NYC,  https://www.morningsideacupuncturenyc.com/adductor-hallucis-trigger-points
  18. Structured Manual Muscle Testing of the Lower Limbs - PMC - PubMed Central,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624435/
  19. Variation of nerve to flexor hallucis brevis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18851823/
  20.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rogressive supervised and home program exercise therapy in mild–moderate hallux valgus,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288957/
  21. Medial pterygoid,  https://microlightcorp.com/wp-content/uploads/2021/10/Trigger_Point_1.pdf
  22. The impact of corrective exercises, kinesiology taping, and mechanical correction on pain and foot shape in women with hallux valgus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009838/
  23. How Adductor Hallucis Reattachment Affects Outcomes Following Scarf Osteotomy in Hallux Valgus Correction: A 4- to 8-Year Follow-Up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37220865/
  24.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abductor hallucis and adductor hallucis between the short foot and toe-spread-out exercises in subjects with mild hallux valgus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23640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