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증 81

엄지발가락벌림근 (모지외전근/Abductor Hallucis Muscle, AH)

1. 서론엄지발가락벌림근 (모지외전근/Abductor Hallucis Muscle, AH)은 발의 발속근육 (내족근/Intrinsic Foot Muscles, IFM) 중 가장 표층에 위치하며 발의 안쪽 경계를 따라 현저한 융기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안쪽 발바닥 세로 활 (내측종족궁/Medial Longitudinal Arch, MLA)의 움직임 안정 (동적안정화/Dynamic Stabilization)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요소로 인식된다. AH의 기능부전은 납작발 (편평족/Pes Planus), 엄지밖굽이증 (모지외반증/Hallux Valgus), 그리고 만성적인 족부 및 발목 통증 등 광범위한 근골격계 병변의 주요 원인 및 결과로 작용한다. 엄지발가락벌림근의 해부학적 중요성부..

통증 2025.10.04

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Flexor Hallucis Longus)

I. 서론: 당신의 발바닥 추진력을 담당하는 근육, FHL 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Flexor Hallucis Longus, FHL)은 종아리 뒤쪽 깊은 곳에 위치하며, 단순히 엄지발가락을 움직이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은 발가락을 굽히는 근육 중 가장 강력한 힘을 자랑하며, 걷거나 뛸 때 발을 땅에서 차고 나가는 최종 추진력을 만들어낸다. 또한, 발바닥의 아치 구조를 단단하게 유지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지키는 데도 중요하다.FHL 병변은 무용가(Dancer's Tendonitis)나 장거리 주자와 같이 발목에 반복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운동선수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 그 임상적 통증 패턴이 후경골근 건병증(Posterior Tibialis Tendon Dysfunction, PTTD), 족저근..

통증 2025.09.30

긴발가락굽힘근(장지굴근, flexor digitorum longus)

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gus, FDL)은 단순히 발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넘어, 인간의 직립 보행과 동적 안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 근육은 발의 복잡한 생체역학적 시스템에서 **내측 세로활(Medial Longitudinal Arch)**을 지지하고 보행 주기의 추진력을 생성하는 데 핵심적인 통찰을 제공한다.1. 긴발가락굽힘근(FDL)의 정교한 해부학적 구조와 특징FDL은 종아리 뒤칸의 심부 근육군에 속하며, 그 구조적 위치와 주행 경로는 발의 기능적 연결성을 결정한다.해부학적 개요이는곳 (Origin): 정강뼈(Tibia) 몸통 뒷면의 중간 높이에 해당한다.닿는곳 (Insertion):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발가락의 먼쪽발가락뼈(Dis..

통증 2025.09.25

발등 통증: 짧은발가락폄근(EDB)과 짧은엄지발가락폄근(EHB) 분석

발등에 느껴지는 욱신거리는 통증, 흔한 증상이라 대수롭지 않게 넘길 수 있다. 혹시 과도한 활동이나 신발 문제로만 생각했다면, 오늘의 글에 주목해 보자. 발의 미세한 기능과 안정성을 담당하는 두 근육, 짧은발가락폄근(단지신근, Extensor Digitorum Brevis, EDB)과 짧은엄지발가락폄근(단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Brevis, EHB)이 바로 그 통증의 진짜 원인일 수 있다.이 두 근육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지만, 걷고 뛸 때 발의 역동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들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족저근막염, 발가락 신경종, 중족골통 등 다른 질환과 비슷하게 느껴져 오진으로 이어지기 쉽다. 1. 해부학적 특징 짧은발가락폄근은 발등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내재..

통증 2025.09.13

긴엄지발가락폄근(장모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엄지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굽는 주된 근육이다. L5의 신경근 문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근육이다. 긴엄지폄근(장모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는 엄지발가락을 발등쪽으로 들어 올리는 근육이다. 뇌졸중 환자가 발등굽힘이 안 될 때, 엄지발가락만 들어 올리면서 걷는 경우도 있다. 물론, 엄지발가락을 지배하는 뇌의 영역이 침범 당하지 않았을 때, 가능한 경우이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 종아리뼈 앞면 중간 부분과 뼈사이막(비골의 내측면 중간 2/4, 골간막, middle portion of fibula on the anterior surface, the interosseous membrane)-닿는곳: 엄지발가락의 먼쪽발가락뼈 발등면 바닥(모지의 말절골, dorsal sid..

통증 2025.09.09

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 extensor digitorum longus)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을 발등쪽으로 들어 올리고, 발등에 밧줄처럼 튀어나오는 힘줄을 보이게 하는 근육이다. 그리고, 앞정강근의 발등굽힘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 정강뼈 가쪽관절융기, 종아리뼈 안쪽면, 뼈사이막(경골의 외측상과, 비골전면, 골간막, lateral condyle of tibia, medial surface of fibula, interosseous membrane)-닿는곳: 2~5번 발가락의 발등 면 (엄지를 제외한 네 발가락의 중지절, 원위지절, dorsal surface of middle, distal phalanx of lateral 4 toes)-작용: 발허리발가락관절(중족지절관절, metatarsophalangeal joint)과 발가락..

통증 2025.08.29

고관절 내전근(엉덩관절 모음근) 해부학적 특징과 관리법

엉덩관절 모음근(고관절 내전근, hip adductors)은 하나의 근육이 아니라 두덩근(치골근, pectineus), 긴모음근(장내전근, adductor longus), 짧은모음근(단내전근, adductor brevis), 큰모음근(대내전근, adductor magnus), 두덩정강근(박근, gracilis)으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이름과 위치는 다르지만,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며 골반과 하체 안정성에 큰 기여를 합니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1) 두덩근(치골근, Pectineus)기시점(이는 곳): 두덩뼈 위가지 (superior ramus of pubis)정지점(닿는 곳): 넙다리뼈 두덩근선 (pectineal line of femur)기능: 엉덩관절의 모음(내전), 굽힘(굴곡)신경 지배: L2~..

통증 2025.08.17

신경과 근육 통증(임상례 포함)

척수 신경과 근육의 관계: 움직임과 통증의 핵심 열쇠우리 몸의 복잡한 신경망은 모든 생리적 기능과 움직임을 조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뇌와 척수에서 이어지는 신경 신호는 근육 활동을 만들어내는 기본 구조로, 이 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근력 약화, 감각 이상 등 다양한 근육 활동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수기치료나 도수치료로 쉽게 접근 가능한 척수 신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척수 신경의 구조와 기능척수 신경은 총 31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목신경 (Cervical nerves): 8쌍으로 팔의 움직임과 호흡에 관여한다.가슴신경 (Thoracic nerves): 12쌍으로 몸통과 복부의 기능에 영향을 준다.허리신경 (Lumbar nerves): 5쌍으로 다리..

통증 2025.08.05

뒤정강근(후경골근, tibialis posterior)

뒤정강근(후경골근, tibialis posterior)은 다리 뒤쪽 구획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발바닥의 안쪽 세로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근육에 문제가 발생하면 편평발(평발, pes planus 또는 flat foot)이 발생할 수 있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이는곳(Origin): 정강뼈(경골, tibia) 뒤쪽 위 2/3, 종아리뼈(비골, fibula) 위쪽 2/3, 그리고 뼈사이막(골간막, interosseous membrane)- 닿는곳(Insertion): 발배뼈(주상골, navicular), 발꿈치뼈(종골, calcaneus), 쐐기뼈(설상골, cuneiform), 제2~4 발허리뼈(중족골, metatarsals 2..

통증 2025.08.04

가자미근(soleus)

가자미근: 발목 안정과 전신 건강을 위한 핵심 근육가자미근은 종아리 뒤쪽, 장딴지근(비복근) 아래에 위치하며, 두 근육과 함께 아킬레스건을 형성하는 중요한 근육이다. 우리 몸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 자세 유지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가자미근의 해부학적 특징, 기능, 통증 부위 및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관리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1. 가자미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주요 기능이는 곳과 닿는 곳이는 곳: 종아리뼈머리(비골두)의 뒤쪽 면, 종아리뼈 뒤쪽 면 몸쪽(근위부) 1/3, 정강뼈 안쪽 면의 중간 1/3, 그리고 종아리뼈와 정강뼈 사이의 힘줄활(tendinous arch).닿는 곳: 발꿈치힘줄(아킬레스건).발목 움직임과 안정성가자미근의 주된 기능은 발목관절에서 발바닥쪽굽힘(족저굴곡)이다. 이..

통증 2025.07.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