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발 뼈사이근(골간근, interossei)

안아프게 2025. 10. 21. 19:31
반응형

I. 서론: 발 내재근(IFM)의 임상적 중요성 및 발 코어 시스템 개념

발은 체중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단순한 골격 구조가 아니라,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다음 발걸음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복잡하고 동적인 시스템이다.1 이러한 동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근육군을 발의 내재근(Intrinsic Foot Muscles, IFM)이라고 하며, 이들은 흔히 '발 코어 시스템(Foot Core System)'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3 이 시스템은 족부의 안정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며 장기적인 족부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바닥쪽 뼈사이근(저측골간근, Plantar Interossei, PI)과 발의 등쪽 뼈사이근(배측골간근, Dorsal Interossei, DI)은 이러한 발 코어 시스템의 가장 깊은 층(제4층)에 위치하며, 섬세한 발가락의 움직임과 중족지관절(MTP joint)의 정교한 안정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5 이 근육군에 문제가 발생하면 보행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통증이 유발되며, 만성적인 족부 변형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글은 발바닥 및 등쪽 뼈사이근의 구조적 및 기능적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이 근육군 기능 부전의 임상적 양상과 병태생리학적 연결 고리를 제시하고, 최신 근거 기반(Evidence-Based Practice, EBP) 연구에 근거한 재활 전략을 설명한다. 특히, IFM 강화 운동이 근력, 균형 및 아치 높이 개선에 탁월하지만, 통증 감소에는 직접적인 우월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 7를 바탕으로, 기능 개선 프로토콜과 통증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접근(경락 마사지 포함)을 결합하여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II. 뼈사이근의 상세 해부학적 특징: 기능적 비교 분석

뼈사이근은 발바면의 가장 깊은 네 번째 근육층에 위치하며,바닥쪽뼈사이근 3개와 등쪽뼈사이근 4개로 구성된다.6 이 두 근육군은 형태, 이는곳 및 닿는곳, 그리고 주요 작용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발바닥쪽 뼈사이근, 발 등쪽 뼈사이근>

A. 바닥쪽 뼈사이근 (Plantar Interossei, PI) 해부학적 특징

발바닥쪽 뼈사이근은 족부 내재근 중 내전 기능에 특화된 근육이다.

  • 개수 및 위치: 총 3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진다.9
  • 근육 형태: 한쪽으로만 섬유가 배열된 특징적인 단일깃근(Unipennate) 모양을 가진다.9
  • 이는곳: 중족골(Metatarsals, MT) 3, 4, 5번의 내측면에서 시작한다.9
  • 닿는: 대응하는 3, 4, 5번째 발가락의 근위지절골(Proximal Phalanges) 내측면에 부착된다.9
  • 주 작용:
  • 3, 4, 5번째 발가락을 중앙선으로 모음(내전, Adduction) 작용을 한다.
  • 중족지관절(MTP joint)에서 발가락 굽힘(굴곡, Flexion)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9
  • 신경 지배: 족부 내재근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가쪽 발바닥 신경(Lateral Plantar Nerve, LPN)**에 의해 지배된다.9

B. 등쪽뼈사이근 (Dorsal Interossei, DI) 해부학적 특징

발의 등쪽 뼈사이근은 족부 내재근 중 외전 기능에 특화된 근육이다.

  • 개수 및 위치: 총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된다.10
  • 근육 형태: 각각 인접한 두 개의 중족골에서 기시하여 이중깃근(Bipenniform) 모양을 가진다.10 각 근육은 두 개의 머리(Two heads)를 가진다.10
  • 이는곳: 인접한 두 개의 중족골 근위 절반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하나의 중앙 힘줄을 형성한다.10
  • 닿는곳:
  • 제1 DI는 2번째 발가락의 내측에 부착된다.12
  • 나머지 세 개의 DI는 2, 3, 4번째 발가락의 외측면에 정지한다.12
  • 근위지절골 기저부 및 장지신근(EDL)의 건막에 부착된다.12
  • 주 작용:
  • MTP 관절에서의 발가락 벌림(외전, Abduction) 작용을 한다.10
  • MTP 관절 굽힘을 보조하고 앞발(전족부, forefoot) 안정화에 기여한다.10
  • 신경 지배: PI와 동일하게 **가쪽 발바닥 신경(Lateral Plantar Nerve, LPN, S2–3 분절)**에 의해 지배된다.12

C. 심층 분석: LPN과 뼈사이근 기능 부전의 신경학적 연관성

발바닥쪽 뼈사이근과 등쪽 뼈사이근은 모두 가쪽 발바닥 신경(LPN)의 지배를 받는다는 해부학적 사실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9 발의 내재근 대부분을 지배하는 LPN에 포착(entrapment)이나 병변이 발생할 경우, 발가락 모음(PI 기능)과 벌림(DI 기능) 모두에서 광범위하고 현저한 근력 저하가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양측 기능 약화는 단순히 국소적인 근육 염좌나 유발점 문제가 아니라, LPN 포착 증후군(예: 발목터널 증후군의 변이) 또는 S2-S3 신경근 병변과 같은 더 상위의 신경학적 문제를 시사하는 중요한 감별 진단 지표가 된다. 신경학적 취약성이 동반된 뼈사이근 기능 부전은 발가락 움직임의 협응력 상실을 초래하여, 환자가 고르지 않은 표면에서 균형을 잡기 어려워하는 등 동적 안정성이 크게 저해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13

 

Table 1: 발의 뼈사이근 상세 해부학적 비교

구분 발바닥쪽 뼈사이근 (PI) 발의 등쪽 뼈사이근 (DI)
개수 3개 (3, 4, 5번째 발가락에 작용) 4개 (2, 3, 4번째 발가락에 작용)
주요 작용 발가락 내전 (Adduction), MTP 굴곡 발가락 외전 (Abduction), MTP 굴곡 및 안정화
기시 중족골 3, 4, 5번의 내측면 9 인접 중족골의 근위 1/2 측면 (두 갈래) 10
정지 근위지절골 3, 4, 5번의 내측면 9 근위지절골 2, 3, 4번의 특정 측면 (2nd 내측; 2nd, 3rd, 4th 외측) 12
근육 형태 단일깃근 (Unipennate) 9 이중깃근 (Bipenniform) 10
신경 지배 가쪽 발바닥 신경 (LPN) 9 가쪽 발바닥 신경 (LPN) 12

III. 운동학적 특징 및 기능적 역할

뼈사이근의 기능적 역할은 발가락의 단순한 움직임을 넘어, 보행 메커니즘 전반에 걸쳐 발의 생체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발 코어' 기능에 중점을 둔다.

A. 발 아치 유지 및 동적 안정성

뼈사이근을 포함한 발의 내재근은 전족부 안정화에 핵심적으로 기여한다. 이 근육들은 보행이나 달리기와 같은 격렬한 활동 중 발가락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splaying)을 방지하여 발의 구조적 통합성을 유지한다.11 특히, 이 근육들은 중족골과 지절골 사이의 관절 위치를 통해 발의 앞쪽 발허리뼈 활(Anterior Metatarsal Arch)뿐만 아니라 안쪽 및 바깥쪽 세로 활(Longitudinal Arches)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4

발의 내재근은 활을 지지하는 능동적 시스템으로 작용하여, 발의 **트러스 메커니즘(Truss Mechanism)**이 발휘되는 것을 보조한다.4 이들은 활이 무너지거나 변형되는 정도와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족저근막(Plantar Fascia)과 같은 수동적 구조물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을 관리하는 데 중요하다.4

B. 보행 주기(Gait Cycle)에서의 역할

보행의 디딤기(Stance Phase) 동안 뼈사이근은 발가락의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발허리뼈관절을 안정화시킨다. 이러한 안정화 작용은 발의 긴/짧은 굽힘근(Long/Short Flexors)이 추진력을 생성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수축할 수 있는 견고한 기반을 제공한다.11 내재근의 약화는 이러한 충격 흡수 및 안정화 기능을 저해하게 된다. 충격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이 증폭되어, 궁극적으로 족저근막을 비롯한 수동적 구조물에 반복적인 과부하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3

C. 기능 부전의 병태생리학적 연결

내재근의 기능 부전은 여러 족부 병변의 발병 및 악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발바닥 내재근은 안쪽 세로 활을 능동적으로 지지하는 데 필수적인 근육이다.4 이 근육들의 위축(atrophy)이나 약화는 세로 활 높이를 감소시키고 발의 과도한 엎침(회내, pronation)을 유발할 수 있다.4

내재근 약화의 결과로 아치가 무너지면,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된다.14 이러한 기계적 스트레스의 증가는 만성적인 족저근막염(Chronic Plantar Fasciitis)을 유발하거나 기존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17 또한, 내재근의 기능 부전은 유연성 평발(Pes Planus)과 같은 구조적 변형 4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가쪽휨증(무지외반증, Hallux Valgus)의 발생 및 진행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따라서 뼈사이근을 포함한 내재근의 기능 개선은 족부 병변의 보존적 치료에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단계이다.6

IV. 뼈사이근 관련 임상 증상 및 통증 증후군

뼈사이근의 손상, 염좌 또는 유발점(Trigger Points)은 크기에 비해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그 증상이 전족부의 다른 흔한 질환과 유사하여 정확한 감별 진단이 요구된다.5

A. 통증 패턴 및 주요 증상

뼈사이근과 관련된 통증은 발가락, 전족부의 볼(Ball of the Foot), 그리고 발의 아치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5 근육 자체의 염좌가 발생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중족골 사이(발등 또는 발바닥 면)에 걸쳐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지기도 하며, 심한 경우 초기 급성기에는 체중 부하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11

환자들이 흔히 보고하는 증상으로는 활동 후 특히 두드러지는 발가락의 경련 또는 뻣뻣함이 있다.5 발가락을 능동적으로 벌리거나 오므릴 때 통증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적이며, 이는 뼈사이근의 직접적인 작용과 관련이 있다.5 또한, 좁거나 꽉 끼는 신발, 하이힐 착용 시 발가락 사이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딱딱한 표면을 맨발로 걸을 때도 불편감이 증가한다.5 발가락 끝에 타는 듯하거나 저린 감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신경 압박(Neuropathy)으로 오인될 수 있다.11

B. 감별 진단의 중요성

뼈사이근 유발점에 의한 통증은 임상적으로 다음의 전족부 질환들과 매우 유사하여 정확한 감별이 중요하다 5:

  1. Morton's Neuroma: 중족골 사이, 특히 3-4번째 발가락 주변에 타는 듯한 통증, 저림, 또는 "신발 안에 돌멩이가 있는 듯한" 이물감이 주된 증상이다.13 뼈사이근의 통증이 발가락 사이 또는 발등 상부에서 발생하면 Morton's Neuroma와 유사하게 느껴질 수 있다.13 중족골 가로방향 압박(Metatarsal Squeeze Test) 시 통증이 유발되면 신경종을 의심할 수 있다.26
  2. Metatarsalgia (발허리뼈통): 전족부 볼(발허리뼈 머리 하부) 부위의 일반적인 통증을 의미하며, 뼈사이근 긴장이 이 통증을 유발하거나 가중시킬 수 있다.13
  3. 신경병증 (Peripheral Neuropathy): 발가락의 타는 듯하거나 저린 감각은 신경병증 증상과 유사하여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11

C. 객관적 검사 및 평가의 임상적 제한

뼈사이근은 섬세한 움직임을 담당하는 심부 근육으로, 수의적으로 활성화하고 고립하여 움직이기가 매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전통적인 수동적 근력 검사(Manual Muscle Testing, MMT)나 저항 검사는 뼈사이근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가들은 종종 이러한 검사를 피한다.27

따라서 뼈사이근 기능 부전이 의심될 경우, 임상가는 유발점을 찾는 정밀한 촉진(Palpation), 한 발 서기 균형 검사(Functional Assessment), 그리고 재활 과정에서는 초음파(Ultrasound)를 활용한 실시간 바이오피드백이나 T2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한 활성화 변화 측정 등 18의 보다 객관적인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해야 한다.16

 

Table 2: 뼈사이근 기능 부전의 임상적 특징 및 감별 진단

특징 뼈사이근 기능 부전 증후군 (PI/DI) 감별 진단 (예: Morton's Neuroma) 근거
주요 통증 부위 발가락 사이, 발등 상부, 전족부 볼, 아치 5 주로 3-4번째 중족골두 사이 (신경 경로) 13 5
통증 양상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 (strain), 뻣뻣함/경련 5 신발 속 돌멩이 감각, 타는 듯한 저림/작열감 13 5
악화 요인 발가락 벌리거나 오므릴 때, 좁은 신발 착용, 보행 후 5 전족부 압박(횡방향 압박), 충격 활동 13 13
객관적 평가 수의적 활성화 어려움 ; 촉진 시 압통점 확인 5 Metatarsal Squeeze Test (양성 시 신경종 의심) 26  

V. 마사지 시 중점을 둬야 할 혈자리 (보완 치료)

근거 기반 연구는 IFM 강화 운동이 통증 감소에는 직접적인 우월성을 보이지 않음을 시사하므로 7, 뼈사이근 관련 통증 증후군 환자의 통증 역치(Pain Threshold)를 낮추고 재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마사지 또는 지압을 보완적 치료로 활용할 수 있다. 뼈사이근의 염증 및 긴장은 국소적인 혈액 순환 장애와 연관되므로, 국소 지압점과 전신 순환을 돕는 혈자리를 조합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다.

A. 뼈사이근 통증에 직접적인 혈자리: 팔풍혈 (八風穴)

**팔풍혈 (Bafeng)**은 뼈사이근 부위의 국소적인 압통 해소에 직접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28

  • 위치: 발가락 사이(趾間, toes' webs)의 발허리뼈발가락관절(중족지관절) 마진(margins)에 위치한다.28
  • 효능: 발가락과 발등의 통증 및 부종 완화에 사용되는 국소 혈자리이다. 뼈사이근의 긴장 및 염증성 통증이 발생하는 중족골 사이 공간에 직접적인 자극을 줄 수 있다.28

B. 전신 순환 및 하지 피로 해소 관련 핵심 혈자리

뼈사이근 기능 부전과 관련된 족부 피로 및 근막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족소음신경(Kidney, KI) 및 족태양방광(Bladder, BL) 경락에 속하며 발목 주변에 위치한 혈자리를 자극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혈자들은 족부의 근막 사슬과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 증진에 기여한다.

  1. 태계혈 (太谿, KI3):
  • 위치: 안쪽 복숭아뼈(Medial Malleolus)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27
  • 효능: 신장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피로를 개선하고, 몸속의 독소와 노폐물 배출에 효과적이다.19 또한, 아킬레스건과 발뒤꿈치 안쪽으로 연결되는 근막 전체를 이완시켜 족저근막을 포함한 후방 근막 사슬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27
  1. 곤륜혈 (崑崙, BL60):
  • 위치: 바깥쪽 복숭아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위치하며, 태계혈의 반대편에 해당한다.27
  • 효능: 림프선이 지나는 자리로, 지압을 통해 혈액 순환 및 림프 순환에 도움을 주어 발목 주변의 통증과 부종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29
  1. 수천혈 (水泉, KI5):
  • 위치: 발뒤꿈치 안쪽 복숭아뼈 아래쪽에 위치하며, 이름의 뜻처럼 체액의 정체를 다스리는 혈자리이다.29
  • 효능: 정체된 체액 배출에 도움을 주어 족부 및 발목 부종 완화에 기여한다. 방광을 자극하는 혈자리로 알려져 체액 배출을 돕는다.29

VI. 근거 기반 물리치료 및 재활 운동 프로토콜

뼈사이근을 포함한 발 내재근(IFM)의 강화는 족부 재활의 핵심 요소이며, 최신 연구에 따르면 기능적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재활 프로토콜은 발의 동적 안정성과 근력, 균형 회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A. 재활의 핵심 목표 및 EBP 근거

IFM 강화 훈련은 근력 증가, 균형 능력 개선, 감각운동 기능 향상, 그리고 안쪽 세로 활 높이 회복(Navicular Drop 감소) 등 다양한 족부 및 발목 결과를 유의미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 이는 내재근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과 같은 병변의 재활에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시사한다.17

그러나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IFM 운동 단독으로 통증 감소(Reducing Pain)에 대해서는 다른 중재 치료와 비교하여 우월성이 입증되지 않았다.7 따라서 물리치료사는 IFM 훈련을 장기적인 기능 개선을 위한 핵심 치료로 사용하되,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는 마사지, 스트레칭, 휴식, 또는 보조기구 사용 등의 보조 요법을 병행해야 함을 인지해야 한다.4

B. 핵심 IFM 강화 운동 (T2 MRI 근거 기반)

T2 MRI를 이용한 연구는 특정 운동이 발바닥 내재근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정도를 객관적으로 입증했다.18 뼈사이근을 포함한 발 코어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한 주요 운동은 다음과 같다.

1. 발 짧게 하기 운동 (Short-Foot Exercise, SFE)

SFE는 IFM 활성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운동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8 이 운동은 외재근의 수축이나 발가락의 굴곡(toe clawing) 없이, 발허리뼈머리(중족골두, metatarsal heads)를 발뒤꿈치(calcaneus) 쪽으로 당겨 내측 종아치를 능동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8 SFE는 새끼발가락벌림근(소지외전근, Abductor Digiti Minimi에서 최대 34.9%의 활성화 증가를 보였으며, 뼈사이근(Interossei) 및 벌레근(Lumbricals) 그룹에서도 유의미한 활성화를 유도한다.18

수행 방법의 핵심: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를 바닥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발바닥에 힘을 주어 아치를 쥐어짜는 느낌으로 수축해야 한다. 발가락을 구부리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9 이 운동은 만성 족저근막염 환자의 재활 프로그램에도 매우 유용하며 20, 정적인 자세뿐만 아니라 스쿼트와 같은 기능적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통합할 수 있다.33

2. 발가락 벌리기 운동 (Toes Spread Out Exercise)

이 운동은 뼈사이근의 주된 기능인 내전 및 외전 능력의 협응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T2 MRI 연구에서 이 운동은 뼈사이근(Interossei)와 벌레근(Lumbricals) 그룹에서 17.3%의 활성화 증가를 보였다.18

수행 방법: 5개의 발가락 모두를 펴고(extension) 동시에 최대한 벌린(abduction) 상태를 만든 후,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만 바닥에 닿게 하고 2~4번째 발가락은 편 채로 유지하며 반복한다.3 이 동작을 수행할 때 발가락이 구부러지는 현상(toe clawing)을 방지하고 발의 외측으로 체중이 쏠리지 않도록 주의 깊게 진행해야 한다.25

3. 발가락 요가 (Toe Yoga / Toe Isolation Control)

발가락 요가는 각 발가락의 독립적인 제어(Isolation Control) 능력을 훈련하여 뼈사이근을 포함한 내재근의 섬세한 조절력을 개선한다. 수행 방법: SFE 자세(발 코어 활성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엄지발가락만 들어 올리고 나머지 네 발가락을 내린 후, 다음에는 네 발가락만 들어 올리고 엄지발가락은 내리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한다.3

4. 수건 말아 쥐기 운동 (Towel Curl Exercise)

이 운동은 발바닥 근육의 지구력 강화를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30 최적화 팁: 단순히 발가락을 구부려 수건을 당기는 것(장족지굴근 사용)을 넘어, 내재근의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발등을 위로 드는 느낌으로 아치를 수축하는 SFE 개념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17 이렇게 하면 외재근에만 의존하는 것을 방지하고 뼈사이근을 포함한 심부 근육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17

 

Table 3: 뼈사이근 활성화를 위한 근거 기반 재활 운동 프로토콜

운동 명칭 근거 기반 활성화 목표 뼈사이근 활성화 근거 (T2 MRI) 임상 적용 및 주의사항
발 짧게 하기 (SFE) 내측 종아치 동적 지지력, 전반적 IFM 근력 강화 가장 효과적. IFM 전반 16.7%–34.9% 증가 18 발가락 굽힘(Clawing) 금지.18 뒤꿈치와 앞꿈치 고정 필수.9
발가락 벌리기 DI 및 PI의 협응력 및 외/내전 기능 개선 Interossei 및 Lumbricals 17.3% 증가 18 모든 발가락을 완전히 펴고 벌리는 데 중점. 동적 균형 훈련에 통합 가능.3
발가락 요가 발가락 분리 제어(Toe Isolation Control) 및 섬세한 조절력 (직접적인 수치 근거 부족) 기능적 분리 훈련 3 SFE 자세를 유지하면서 진행하여 발 코어 활성화.3
수건 말아 쥐기 내재근/외재근 통합 강화 및 굴근 지구력 전반적인 발바닥 근육 활성화 30 아치를 들어 올리는 수축을 병행하여 내재근 참여 유도.3

C. 재활 운동의 통합적 적용 및 발전

재활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적인 근력 강화가 아니라, 보행 및 역동적인 활동에서 발이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11 따라서 뼈사이근 재활은 단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앉은 자세에서 SFE를 연습하며 내재근의 고립된 활성화를 배우고, 이후 서서 SFE를 진행한다.

기능적 통합 단계에서는 SFE 자세를 유지한 채로 눈을 감고 균형 잡기(Eyes-forward balance holds)를 시도하거나, 호핑(hopping) 또는 스쿼트와 같은 부하 운동에 SFE를 통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치료사는 환자가 흔히 보이는 보상 작용, 즉 발가락을 쥐거나(toe clawing) 발의 외측으로 굴러 아치가 무너지는 현상 25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보상 작용은 외재근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뼈사이근의 활성화를 방해하는 실패 지점(Failure Point)을 나타낸다.

VII. 결론 및 임상적 시사점

발바닥쪽 및 등쪽 뼈사이근은 족부의 섬세한 움직임뿐 아니라, 보행 시 충격 흡수와 동적 아치 안정성 유지를 담당하는 '발 코어 시스템'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이 근육군의 기능 부전은 족저근막염, 평발, 무지외반증 등 다양한 족부 병변의 병태생리학적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뼈사이근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족부 재활 치료의 근본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최고의 물리치료사적 관점에서, 재활 전략은 최신 EBP 연구에 근거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발 짧게 하기 운동(SFE)**은 뼈사이근을 포함한 IFM 활성화에 가장 효과적인 운동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발가락 벌리기 운동 및 발가락 요가를 병행하여 섬세한 제어력을 회복해야 한다.8 이 훈련은 근력, 균형, 그리고 아치 구조를 개선하는 데 탁월하다.

뼈사이근 통증 증후군은 Morton's Neuroma와 같은 다른 전족부 질환과 감별 진단이 필수적이며, 통증이 심한 급성기 또는 만성 통증기에 환자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통합 치료가 중요하다. IFM 강화 훈련이 통증 감소 자체에 우월성을 보이지 않으므로, 국소적인 통증 완화를 위한 팔풍혈 지압과 전신 및 하지 순환 개선을 위한 태계혈, 곤륜혈, 수천혈 등의 지압을 병행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역치를 낮추고 재활 참여도를 높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다.27

궁극적으로, 뼈사이근 재활은 정적인 근력 강화 단계를 넘어, SFE를 보행 및 기능적 활동에 통합하여 동적 안정성을 완벽하게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앞으로는 IFM 훈련이 통증 감소에 미치는 직접적인 장기 효과를 측정하는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재활 과정 중 초음파 바이오피드백과 같은 객관적인 근육 활성화 모니터링 기법의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15


VIII. 참고 문헌 (References)

이 보고서에 사용된 참고 문헌 및 근거 자료 목록이다.

  • 3
    McKeon PO et al. The foot core system: a new paradigm for understanding intrinsic foot muscle function. Br J Sports Med. 2015. / Physical Therapy MA. Intrinsic Foot Strengthening (or The Foot Core).
  • 4
    Plantar intrinsic muscles play a pivotal role in posture control and gait dynamics (PMC10508328). / JOSPT. Strain produced by the plantar fascia also relies on activation of the foot's truss mechanism.
  • 5
    Morningside Acupuncture NYC. Interossei Foot Trigger Points. / Benjamin Institute. Interosseous Muscle Strains.
  • 6
    Dorsal Interossei of the Foot. Physiopedia. / Anatomical Variations of Foot Muscles and Hallux Valgus (PMC10231165).
  • 7
    Jaffri et al. Evidence of Intrinsic Foot Muscle Training in Improving Foot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Gate).
  • 8
    Willemse et al. Intrinsic foot muscle (IFM) exercises improved balance and strength (PMC10784881).
  • 9
    TeachMeAnatomy. The plantar interossei. / YouTube. 발 내재근 촉진 기법.
  • 10
    Dorsal Interossei of the Foot - Origin, Insertion, Action (Physio-pedia & OrthoBullets).
  • 11
    MSD Manuals. 발의 신경 손상. / Wikipedia. Dorsal interossei muscles.
  • 12
    OrthoBullets. Dorsal interossei (4 muscles).
  • 13
    Morningside Acupuncture NYC. Interossei & Dorsal Interossei Trigger Points.
  • 17
    Lee DR et al. Effects of a 6-week intrinsic foot muscle exercise program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e-jer).
  • 18
    Chen YF et al. T2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trinsic Plantar Foot Muscle Activation During Specific Exercises (PMC5094843).
  • 28
    YouTube. Acupuncture Point - Foot and Toe Pain - Bafeng (팔풍혈).
  • 14
    ClinicalTrials.gov. The Therapeutic Effect of Targeted Intrinsic Foot Muscles Exercises in Plantar Fasciitis. / MSD Manuals. 발바닥 통증(발허리뼈통).
  • 20
    ClinicalTrials.gov. IFM exercise PF. / YouTube. Short foot exercise for plantar fasciopathy.
  • 32
    Lee DR et al. Effects of a 6-week intrinsic foot muscle exercise program (PhysicalTherapyMA).
  • 21
    MSD Manuals. 발의 신경 손상. / Morningside Acupuncture NYC. Dorsal Interossei Trigger Points.
  • 26
    Physio-pedia. Metatarsal Squeeze Test. / Chen YF et al. T2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trinsic Plantar Foot Muscle Activation (PMC5094843).
  • 33
    The Foot Clinic. Short Foot Posture Exercises.
  • 23
    Morningside Acupuncture NYC. Interossei Foot Trigger Points. / Dorsal Interossei Trigger Points.
  • 24
    MSD Manuals. 발의 신경 손상. / Morningside Acupuncture NYC. Dorsal Interossei Trigger Points.
  • 25
    YouTube. Short foot exercise Common errors. / Morningside Acupuncture NYC. Dorsal Interossei Trigger Points.
  • 16
    Benjamin Institute. Interosseous Muscle Strains.
  • 31
    Physiotutors. 발 내재근 활성화를 위한 운동. / YouTube. Short foot exercise Common errors.
  • 30
    Physical Therapy MA. Intrinsic Foot Strengthening. / Anderson Clinic. Foot Intrinsic Strengthening Exercises.
  • 15
    Morningside Acupuncture NYC. Dorsal Interossei Trigger Points. / PMC. Plantar intrinsic muscles play a pivotal role in posture control.
  • 22
    PMC10231165. Anatomical variations of foot muscles (First Plantar Interossei variation).
  • 27
    한국한의약진흥원. 태계혈, 삼음교혈. / YouTube. 곤륜혈 태계혈 (족저근막염 혈자리).
  • 19
    한국한의약진흥원. 태계혈 (피로, 독소 배출).
  • 29
    YouTube. 곤륜혈 수천혈 (혈액순환, 부종 완화). / 성모탑. 무지외반증 치료 방법.

참고: 1, 2, 34의 경우, 현재 사용된 근거 자료만으로는 정확한 출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