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발 자체근육의 임상적 중요성
발은 우리 몸의 구조적 기반으로서 체중을 지탱하고 걸을 때 추진력을 제공하는 핵심 구조물이다. 발의 안정성은 발 바깥근육(Extrinsic Muscles)뿐만 아니라, 발 자체 내에 시작점과 닿는점을 가지는 발 자체근육(Intrinsic Foot Muscles, IFMs)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1 특히, 발바닥 자체근육 네 개 층 중 두 번째 층을 구성하는 발바닥네모근(Quadratus Plantae, QP)과 벌레모양근(Lumbricales Pedis)은 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gus, FDL) 힘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의 동적인 안정성 및 미세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2
발 자체근육의 기능 부전을 단순한 국소 근육통이 아닌, 족저근막염(Plantar Fasciitis, PF) 및 가쪽 발바닥 신경 포착(Lateral Plantar Nerve Entrapment)과 같은 흔하고 만성적인 발 병변의 주요 원인 인자로 간주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다.3 본 보고서는 발바닥네모근 및 벌레모양근의 해부학적 특징, 복합적인 운동학적 역할, 병태생리학적 통증 양상을 근거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관리법 제시한다.
II. 발바닥네모근 및 벌레모양근의 상세 해부학적 특징
A. 발바닥네모근 (Quadratus Plantae, QP) 해부학 및 구조적 변이
발바닥네모근은 발바닥의 두 번째 층에 위치한 평평하고 네모난 근육이다. 이 근육은 손에는 해당되는 근육(Homologous Muscle)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며 5, 그 해부학적 구조와 변이는 발 병변의 진단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 시작점, 닿는점 및 지배 신경
발바닥네모근은 두 개의 뚜렷한 갈래(heads)에서 시작한다.
- 이는점 (Origin):
- 안쪽 갈래: 발꿈치뼈(Calcaneus)의 안쪽 발바닥면( Medial plantar surface of the Calcaneus)
- 가쪽 갈래: 발꿈치뼈의 가쪽 결절 또는 가쪽 발바닥면( Lateral tuberosity or Lateral plantar surface of the Calcaneus)
- 닿는점 (Insertion):
- 긴발가락굽힘근(FDL) 힘줄의 깊은 표면, 특히 FDL 힘줄이 네 개의 힘줄 갈래로 나뉘기 직전의 뒤가쪽 경계( Deep surface of the Flexor Digitorum Longus (FDL) tendon, specifically the posterolateral border just before the FDL tendon divides into four slips)
- 지배 신경 (Innervation): 가쪽 발바닥 신경(Lateral Plantar Nerve, S2, S3)
- 혈액 공급: 가쪽 발바닥 동맥
이 두 갈래는 긴발바닥인대(Long Plantar Ligament)에 의해 시작점에서 분리되며, 먼쪽으로 진행하면서 평평한 띠 형태로 합쳐진다.7
2. 임상 해부학적 중요성: 신경 포착 위험
QP의 해부학적 구조는 단순히 근육 기능 외에 신경학적 임상 문제와 깊이 연관된다. 가쪽 발바닥 신경(LPN)은 발꿈치뼈와 발바닥네모근의 두 갈래 사이를 지나 가쪽 발바닥을 따라 주행한다.8 발꿈치뼈 골절과 같은 외상 후 발바닥네모근에 구축(contracture, 오그라듦)이 발생하면 8, 이는 LPN을 기계적으로 압박하여 포착성 신경병증(Entrapment Neuropathy)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 포착은 발뒤꿈치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족저근막염과 감별 진단이 필수적이다.4
B. 벌레모양근 (Lumbricales Pedis) 해부학 및 기능
벌레모양근은 족저의 두 번째 층에 발바닥네모근과 함께 위치하는 작은 근육으로, 총 네 개가 존재한다.
- 이점 (Origin): 긴발가락굽힘근(FDL) 힘줄 1
- 닿는점 (Insertion): 발가락의 폄 건막(Extensor Hood) 1
- 지배 신경 (Innervation):
- 제1 벌레모양근: 안쪽 발바닥 신경(MPN) 9
- 제2, 제3, 제4 벌레모양근: 가쪽 발바닥 신경(LPN)의 깊은 가지
1. 기능 및 신경 지배
벌레모양근의 주요 기능은 발허리발가락관절(Metatarsophalangeal, MTP)의 굽힘을 보조하고, 발가락뼈사이관절(Interphalangeal, IP)을 폄시키는 것이다.1 이러한 움직임은 걸을 때 발가락이 땅에서 밀어내는 동작(Toe-off)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흔듦기(swing phase)중 긴발가락폄근에 의한 발허리발가락관절의 과도한 폄을 예방한다. 근육이 약화된다면 망치발(hammer toe)를 유발한다.
III. 발 자체근육의 운동학적 특징 및 생체역학적 기능
A. 발바닥네모근의 생체역학적 기능 이론
QP는 그 역할에 대해 학계에서 단일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으며, 네 가지 주요 이론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임상적 및 생체역학적 관점에서 이 근육이 발의 동적인 안정성(Dynamic Stability)에 매우 중요한 미세 조절기(Fine Tuner)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은 명확하다.8
기능 이론 | 핵심 내용 | 근거 및 임상적 의의 |
FDL 빗당김 보정 | 긴발가락굽힘근(FDL)의 빗방향 당김을 중화하여 2~5지 발가락의 안쪽모음/안쪽들림 변형을 방지하고 발가락을 곧게 펴서 굽히게 한다. | QP 손상 후 발가락 갈퀴 변형(Claw Toe) 발생 보고.8 발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핵심 기전이다. |
발가락 발바닥 굽힘 보조 | FDL의 능동적 불충분(Active Insufficiency)을 보완하여 발가락 굽힘력을 강화한다. | EMG 연구에서 발바닥 굽힘 시 지속적 활성화 확인.10 저항 운동의 근거를 제공한다. |
발의 엎침 보조 역할 | FDL 활성화 단독 시 발생하는 발의 가쪽번짐 및 가쪽뒤침 경향을 상쇄하여 발의 엎침(Pronation)을 유도한다. | Kaplan의 실험적 지지.10 발의 정렬(과도한 엎침)과 기능 부전의 상호작용 이해에 필요하다.11 |
벌레모양근 안정화 역할 | 해부학적 부착 위치를 통해 벌레모양근의 기능적 안정화에 기여한다. | 복합적 기능의 일부일 가능성을 시사한다.10 |
발바닥네모근 기능의 핵심은 'FDL 빗당김 보정'으로 널리 인정된다.7 FDL 힘줄은 발의 안쪽을 따라 빗방향으로 주행하므로, 단독으로 수축하면 발가락을 가쪽으로 당겨 안쪽모음 및 안쪽들림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발바닥네모근은 FDL 힘줄에 직각으로 작용하여 이 빗방향 당김을 상쇄하고, 발가락이 땅에 대해 직선으로 굽혀지도록 힘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한다.
B. 걸음 주기에서의 동적 안정화 역할
발바닥네모근과 벌레모양근을 포함한 발 자체근육 전체는 걸음 주기(Gait Cycle) 중 약 60%를 차지하는 디딤기(Stance Phase) 동안 발 활(arch)를 지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이다.
발바닥네모근은 특히 딛는기 동안 발가락의 과도한 폄(Extension)에 저항하여 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8 이 기능은 걸음의 추진 단계에서 발가락이 땅을 효율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기계적 환경을 조성한다. 벌레모양근은 발허리발가락관절 굽힘 및 발가락뼈사이관절 폄을 통해 발가락의 자세를 제어하며, 추진력을 생성하는 발의 '회전(rocker)' 기능에 기여한다. 따라서 발 자체근육의 기능 부전은 단순한 통증을 넘어, 걸음 패턴 전반에 걸친 비효율성과 안정성 저하를 초래한다.
IV. 병태생리학 및 통증 양상 (Pathology & Pain Referral)
A. 발바닥네모근 근막 통증 유발점(MTrP)의 임상적 특징
발바닥네모근에 발생하는 근막 통증 유발점(Myofascial Trigger Point)은 흔히 족저근막염(PF)을 모방하며 오진의 위험이 높다.3 Janet Travell의 연구에 기반한 통증 패턴에 따르면, 발바닥네모근의 유발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통증 유발점 및 방사 패턴
발바닥네모근의 통증 유발점은 주로 발꿈치뼈 먼쪽의 발바닥면 중앙 부위에서 촉진된다.3 통증의 방사 패턴은 다음 부위로 퍼진다.
- 발뒤꿈치와 발바닥 아치 (족저근막염으로 오인될 수 있다.)
- 발볼과 발가락 (발허리뼈 통증이나 신경 통증으로 오인될 수 있다.)
- 아킬레스힘줄과 아래 장딴지 (아킬레스힘줄염 또는 뒤정강근 기능 부전과 유사할 수 있다.) 13
2. 증상 및 유발 요인
발바닥네모근 MTrP 환자는 종종 다음과 같은 증상을 호소한다.4
- 발뒤꿈치나 발바닥 통증이 장시간 서 있거나 걷거나 달리는 활동 후에 악화된다.4
- 발의 피로감, 경련, 또는 발바닥에 '돌 위를 걷는 듯한' 뻣뻣함이나 불편함을 느낀다.4
- 발바닥근막염과 유사하게 휴식 후나 아침에 통증이 더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4
- 발을 고정하는 신발 착용이나 구조적 변형(예: 과도한 엎침)이 유발 요인일 수 있다.11
B. 발바닥근막염 및 신경 포착과의 감별 진단
발바닥네모근 통증은 여러 발 병변과 증상이 겹치므로 정확한 감별 진단이 임상가의 주요 임무이다.
1. 근위 발바닥 자체근육 힘줄병증 (PPIT) 가설
발바닥네모근, 짧은발가락굽힘근, 엄지 벌림근 등의 가까운 힘줄에 발생하는 힘줄병증(Tendinopathy)은 족저근막염으로 오해 할 수 있다. 이 근육들은 족저근막과 가까운 시작 부위를 공유하며 발 아치를 지지하는 데 공동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발바닥네모근 기능 부전은 발바닥근막에 가해지는 기계적 장력을 증가시켜 족저근막염의 병태생리학적 원인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주요 감별 진단 비교
임상적 특징 | 발바닥네모근 MTrP | 족저근막염 (PF) | 가쪽 발바닥 신경 포착 (LPN Entrapment) |
통증 위치 | 발뒤꿈치 중앙/안쪽, 발바닥 아치, 발볼까지 방사. | 주로 안쪽 발꿈치뼈 결절의 뼈 부착 부위.15 | 발꿈치뼈 가쪽 및 발바닥 아치 가쪽, 작열감, 감각 이상, 저림 동반. |
통증 악화 요인 | 장시간 서 있기, 걷기, 달리기 등 지속적인 활동.4 | 아침 첫 걸음 또는 휴식 후 첫 체중 부하 시 가장 극심.15 | 활동/휴식 무관하게 발생하며, 야간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
촉진 소견 | 발바닥네모근 자체(발꿈치뼈 먼쪽의 깊은 곳)에 국소 압통 및 특징적인 방사 통증 유발.4 | 안쪽 발꿈치뼈 결절의 부착 부위에 국한된 압통.17 | LPN 주행 경로(QP 두 갈래 사이)에서 Tinel 징후 양성 가능. |
V. 근거 기반 관리법 (Evidence-Based Physiotherapy)
발바닥네모근 및 벌레모양근 기능 부전에 관리법은 국소적인 근육 문제를 넘어, 전체 발 및 아래다리의 생체역학적 불균형을 해결하는 다중 모드 전략(Multimodal Approach)을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17
A. 수기관리법
1. 연부 조직 이완 및 스트레칭
발바닥네모근을 포함한 깊은 발바닥 자체근육의 경직과 긴장은 발 아치에 과도한 기계적 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부드러운 조직 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이나 근막 이완(Myofascial Release) 기법을 적용하여 발과 발목의 연부 조직 제한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15 특히, 발바닥 구조에 장력을 전달하는 장딴지근 및 가자미근 복합체를 포함하는 종아리 세갈래근의 스트레칭은 통증과 기능 장애를 줄이는 데 가장 큰 전체적인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3 또한, 근육 긁기(Muscle Scraping)와 같은 도구 보조 기법은 발바닥 아치의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20
2. 경락 마사지적 접근법 (Complementary Approach)
전통 한의학적 또는 보완 의학적 접근인 경락 마사지 요법은 수기 관리의 한 부분이다.. 발바닥네모근과 벌레모양근이 위치하는 발바닥 부위는 한의학적으로 족소음신경(Kidney Meridian)의 시작점인 용천혈(KI 1) 부위와 관련 깊은 중요한 영역이다.13 마사지는 근막 통증 유발점(MTrP)의 비활성화와 기혈 순환 개선을 목표로 하며, 깊은 마찰(Deep Friction Massage)은 통증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13
- 발바닥 통증 관리를 위한 경락 마사지 중재는 다음과 같은 부위에 초점을 맞춘다.2핵심 경혈 부위 (용천혈): 발바닥의 가장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는 용천(KI 1) 부위 및 발바닥 아치를 따라 마사지하여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한다.
- QP 근막 통증 유발점: 발바닥네모근의 통증 유발점(발꿈치뼈 먼쪽 중앙)을 포함하여 가장 아픈 부위에 집중적인 깊은 마찰을 적용하여 근육 이완을 유도한다.
- 발목 안쪽: 족소음신경 등의 주행 경로인 발목 안쪽을 함께 풀어줌으로써 발의 전체적인 긴장 해소 및 소통을 돕는다.
B. 운동적 접근법 (Exercise and Rehabilitation Protocol)
발바닥네모근 및 벌레모양근을 포함한 발 자체근육의 강화는 발 안정성과 걸음 효율성을 장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있어 핵심 요소이다.15 T2 MRI를 이용한 근활성화 연구에 기반하여, 특정 운동들이 자체근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모집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4
1. 핵심 자체근육 강화 프로토콜 (T2 MRI 근거 기반)
다음 운동들은 발바닥네모근과 벌레모양근을 포함한 모든 발바닥 자체근육을 유의미하게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재활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부터 통합되어야 한다.25
운동 명칭 | 수행 방법 및 임상 지침 | 주요 활성화 근육 | 평균 활성화 증가율 (T2 MRI 근거) |
짧은발 운동 (Short-Foot Exercise, SFE) | 발가락 굽힘 없이 발허리뼈 머리를 발꿈치뼈 쪽으로 당겨 발의 안쪽 세로 아치를 높인다. | 새끼 발가락 벌림근(ADM), 엄지 벌림근(AH) | 29.7% ~ 34.9% (IFM 전체 활성화 16.7% 이상) |
발가락 펼침 운동 (Toes-Spread-Out Exercise, TSO) | 다섯 발가락을 폄 후 동시에 벌리고, 엄지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만 굽혀 땅을 누르며 2~4지는 폄을 유지한다. | 새끼 발가락 벌림근(ADM), 엄지 모음근(Adductor Hallucis Oblique) | 30.2% ~ 35.2% (IFM 전체 활성화 17.3% 이상) |
2~5지 폄 운동 | 엄지 발가락을 고정한 상태에서 나머지 2~5지 발가락을 폄 (분리 운동)한다. | 새끼 발가락 벌림근(ADM), 짧은엄지굽힘근(FHB) | 8.9% ~ 22.5% |
저항성 발가락 굽힘 훈련 | 발바닥 전체로 수건을 당기거나 19, 3kg의 부하를 가한 상태에서 모든 발가락의 MTP 및 IP 관절을 굽힘시키는 훈련을 한다.25 | 발바닥 굽힘근 (FDL, FDB, QP, Lumbricals) | 근력, 발 아치 형태 및 운동 능력이 유의미하게 개선된다.25 |
짧은발 운동은 발가락 굽힘을 최소화하면서 아치 높이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아치 안정화 근육을 주로 활성화하며, 발가락 펼침 운동은 특히 발가락의 미세한 분리 및 협응 능력을 훈련한다.25 이 두 가지 운동은 발바닥네모근과 벌레모양근을 포함한 모든 발 자체근육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가장 근거 기반적인 출발점이다.
2. 기능적 통합 및 신경근 조절 훈련
단순한 근력 강화 외에도, 발가락의 미세한 분리 운동(Differential Toe Movements)을 통해 신경근 조절력(Neuromuscular Control)을 향상시켜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자체근육의 힘을 한 발 지지 자세(Single-leg stance) 및 걸음 훈련(Gait Training)으로 통합하여, 걸음의 딛는기 동안 발바닥네모근이 안정화 역할을 수행하도록 재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8
VI. 결론 및 임상적 요약
발바닥네모근과 벌레모양근은 발 통증 및 기능 부전의 평가 및 치료에 있어 중요한 대상이다. 발바닥네모근은 긴발가락굽힘근의 빗방향 당김을 보정하고, 발 아치를 동적으로 지지하며, 가쪽 발바닥 신경 포착의 해부학적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는 복합적인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발바닥 통증 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관리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전략이어야 한다. 첫째, 발바닥네모근 근막 통증 유발점과 발바닥근막염, 그리고 가쪽 발바닥 신경 포착 및 근위 발바닥 자체근육 힘줄병증(PPIT) 간의 정교한 감별 진단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통증이 만성화된 경우, 발바닥네모근 MTrP에 대한 수기관리를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고 족저근막의 구조적 장력을 해소하는 근거 기반 치료를 적용한다.14 셋째, 재활 운동은 T2 MRI 연구로 입증된 짧은발 운동 및 발가락 펼침 운동을 통해 자체근육을 통합적으로 활성화하고, 이를 걸음 패턴으로 전이시키는 기능적 재교육을 포함해야 한다.25
궁극적으로, 발바닥네모근과 벌레모양근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은 단순한 근육 치료가 아니라, 발의 동적인 안정성을 복원하고 만성 발바닥 통증의 근본적인 생체역학적 원인을 해결하는 핵심적인 근거 기반 전략이다. 이러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만이 환자의 장기적인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
참고 자료
- Intrinsic Foot Muscles - Physiopedia, https://www.physio-pedia.com/Intrinsic_Foot_Muscles
- Muscles of the Foot - Dorsal - Plantar - TeachMeAnatomy https://teachmeanatomy.info/lower-limb/muscles/foot/
- https://www.morningsideacupuncturenyc.com/quadratus-plantae-trigger-points#:~:text=Trigger%20Point%20Referral%20Pattern,for%20Metatarsalgia%20or%20Nerve%20Pain)
- Quadratus Plantae Trigger Points - Morningside Acupuncture NYC, https://www.morningsideacupuncturenyc.com/quadratus-plantae-trigger-points
- Anatomical variation of quadratus plantae in relation with flexor digitorum brevis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14080/
- A Unique Variation of Quadratus Plantae in Relation to the Tendons of the Midfoot - MDPI, https://www.mdpi.com/2411-5142/7/2/49
- Quadratus plantae - Podiatric Anatomy, https://podiatry-anatomy-app.qut.edu.au/content/intrinsic-muscles/quadratus-plantae.html
- Quadratus Plantae - Physiopedia, https://www.physio-pedia.com/Quadratus_Plantae
-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Arches of the Foot - StatPearls - NCBI Bookshelf,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87361/
- A Review of the Function of the Quadratus Plantae | The Foot and ..., https://faoj.org/2009/11/01/a-review-of-the-function-of-the-quadratus-plantae/
- Intrinsic Muscles of the Foot - West Suburban Pain Relief, https://westsubpainrelief.com/foot-pain-intrinsic-muscles/
- Proximal Plantar Intrinsic Tendinopathy: Anatomical and ...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31599667/
- Manual therapy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A comparison of three approaches - PMC - PubMed Central,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917457/
- Research Paper The Impact of Quadratus Plantae Muscle Dry Needling on Pain and Thickness of the Plantar Fascia in Individuals Wi - Physical Treatments,https://ptj.uswr.ac.ir/article-1-669-en.pdf
- The Latest Evidence-Based Approaches for Treating Plantar Fasciitis, https://www.wildflowerptandwellness.com/blog/thelatestevidencebasedapproachesfortreatingplantarfasciitis
- Strengthening Exercises for Intrinsic Foot Muscles - Damien Howell PT, https://damienhowellpt.com/strengthening-exercises-for-intrinsic-foot-muscles/
- Comprehensive Physiotherapy Rehabilitation Protocol of Plantar Fasciitis for a 45-Year-Old Female: A Case Report,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35201/
- Evidence-based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 Patient with Plantar Heel Pain: A Case Report, 10월 19, https://www.orthopt.org/uploads/Green.pdf
-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Foot Muscles - StatPearls - NCBI Bookshelf,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9705/
- Dry Needling: Quadratus Planta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LzMy-fYts54
- FOOT INTRINSIC STRENGTHENING - Anderson Orthopaedic Clinic, https://andersonclinic.com/wp-content/uploads/2022/05/foot-Intrinsic-strengthening-exercises.pdf
- Strength Training for the Intrinsic Flexor Muscles of the Foot: Effects on Muscle Strength, the Foot Arch, and Dynam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976005/
- Intrinsic Foot Muscle Activation During Specific Exercises: A T2 Time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094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