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목 통증의 원인 4

안아프게 2023. 12. 19. 21:26
반응형

목 통증과 팔 저림의 숨겨진 원인: 어깨 움직임의 영향

목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오늘은 특히 팔의 움직임이 목 통증과 팔 저림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를 다뤄본다. 특히 어깨뼈의 수평 모음(수평 내전, horizontal adduction), 위팔뼈 안쪽돌림(내회전, internal rotation), 그리고 어깨 관절 구축(굳어짐)이 어떻게 목 통증과 저림 증상을 유발하는지 자세히 알아본다.

---

1. 어깨뼈 수평 모음 (Scapular Horizontal Adduction)

어깨뼈 수평 모음은 팔짱을 끼거나 반대쪽 등을 긁을 때처럼 팔꿈치가 가슴뼈 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에서 나타난다. 어떤 경우에 이러한 움직임이 통증을 유발하는지 살펴본다.

<어깨뼈 수평 모음>

 

팔을 수평으로 모으는 동작을 하면, 위 그림처럼 어깨세모근의 후면부(후부삼각근, posterior deltoid)가 작은 마름근을 당기게 된다. 물론 중간 어깨세모근이나 큰 마름근 등 다른 근육들도 함께 작용하지만, 여기서는 목뼈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해 본다.

만약 어깨세모근의 후면부가 작은 마름근에 비해 긴장되어 있거나 짧아져 있다면, 팔의 수평 내전 시 어깨뼈와 척추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작은 마름근을 자극하게 된다. 어깨뼈의 정상적인 간격은 아래 그림을 참고하라.

<어깨뼈의 정상적인 간격>

이러한 자극은 7번째 목뼈(C7)1번째 등뼈(T1)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이 부위 척추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여기서 나오는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어깨세모근의 후면부가 짧아져서 팔이 저리다면, 당연히 어깨세모근을 먼저 스트레칭하거나 이완시켜야 한다. 7번째 목뼈와 1번째 등뼈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주된 원인으로는 고개를 숙여 하는 작업(공부 등)을 자주 하거나 교통사고와 같은 외부 충격이 있다.

(1) 팔신경얼기 (상완신경총, Brachial Plexus)

작은 마름근에 의해 7번째 목뼈와 1번째 등뼈가 자극될 때 나타나는 증상은 아래 그림의 팔신경얼기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팔신경얼기>

 

7번째 목뼈와 1번째 등뼈 사이에서 나오는 8번 목신경(C8 nerve)자신경(척골신경, ulnar nerve)과 연결된다. 따라서 작은 마름근에 의해 이 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자신경이 분포하는 새끼손가락 쪽에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단순히 새끼손가락이 저리다고 해서 무조건 8번 디스크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디스크가 아니어도 척추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손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

2. 위팔뼈 안쪽돌림 (Humeral Internal Rotation)

어깨뼈 수평 내전뿐만 아니라 위팔뼈 안쪽돌림에 의해서도 작은 마름근이 자극되어 저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어깨뼈 안쪽돌림>

<어깨뼈 안쪽돌림>

위팔뼈가 안쪽으로 돌아가면 어깨뼈와 척추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작은 마름근을 당기게 된다. 이는 어깨뼈 수평 내전과 비슷한 기전으로, 7번째 목뼈와 1번째 등뼈를 자극하여 자신경에 영향을 주고 새끼손가락 저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똑바로 섰을 때 엄지손가락이 정면을 봐야 정상인데, 만약 엄지손가락이 몸통 쪽을 향하고 있다면 어깨뼈가 안쪽돌림 된 상태이다. 이런 체형은 주로 둥근어깨체형(round shoulder)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어깨뼈가 안쪽돌림 되어 있는데, 새끼손가락이 저리다면, 위팔을 안쪽돌림하게 만드는 근육들, 즉 넓은등근(광배근, latissimus dorsi),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 어깨아래근(견갑하근, subscapularis), 그리고 가슴 근육들을 스트레칭하거나 이완시켜야 한다.

---

3. 어깨 관절 구축 (Shoulder Joint Contracture)

어깨 관절이 굳어지는 원인은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석회화, 또는 어깨 관절 수술(회전근개, 연골, 유방암 수술 등)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어깨 관절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면, 팔을 움직일 때마다 어깨뼈가 과도하게 움직이면서 작은 마름근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어깨뼈 수평 모음이나 위팔뼈 안쪽돌림과 유사한 양상으로, 결과적으로 새끼손가락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팔(특히 새끼손가락)이 저린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단순히 디스크 문제나 심장 문제(내장기 연관통, referred pain)뿐만 아니라, 등뼈의 각도와 같은 체형 문제,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팔의 특정 움직임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면 증상을 해결하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

만약 목 통증이나 팔 저림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 단순히 증상 부위만 집중하기보다는 몸 전체의 균형과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 현재 겪고 있는 증상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