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69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은 정강이 앞쪽에 위치한 주요 근육으로, 발목을 발등 쪽으로 올릴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장시간 걷거나 무거운 신발을 신고 이동할 때 피로감을 느끼기 쉬운 근육 중 하나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이는 곳: 정강이뼈(경골)의 안쪽 - 닿는 곳: 발 안쪽(안쪽 쐐기뼈 및 첫째 발허리뼈) - 기능: 발목관절에서 발을 발등 쪽으로 굽힘(배측 굽힘), 목말밑관절(거골하관절)에서 안쪽번짐(회외, supination) 작용, 족궁(발아치) 유지에 기여한다. 앞정강근은 깊은종아리신경(심비골신경, deep peroneal nerve, L4~S1)의 지배를 받는다. 따라서 허리 신경 검사 시 L4 신경근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quadriceps)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quadriceps)은 이름 그대로, 네 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진 근육군이다. 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 rectus femoris), 안쪽넓은근(내측광근, vastus medialis), 가쪽넓은근(외측광근, vastus lateralis), 중간넓은근(중간광근, vastus intermedius)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릎에서 공통 힘줄로 정강이에 붙어 우리 몸에서 큰 힘을 내는 근육이다. 공을 발로 찰 때, 강하게 찰 수 있는 근육이다. 각 근육의 특징을 살펴보자.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넙다리네갈래근 중 왼쪽 그림은 넙다리네갈래근이 있어 중간넓은근이 보이지 않는다. 오른쪽 그림은 넙다리곧은근을 제거하여 중간넓은근이 보인다. (1)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 rectus femor..

통증 2025.03.02

배가로근(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

배가로근(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은 코어(core) 근육 중 하나이다. 복대 같은 역할을 한다. 대학교 학부 과정에서, 허리 안정화(요추 안정화, lumbar stailization)의 중요한 근육으로 공부했다. 허리 안정화를 위해 배가로근의 수축 시 아랫배가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배웠다. 그런데, 요새는 배가 나오도록 해야 배가로근이 더 활성화가 된다고도 하고, 다른 연구에서는 수축해도 배가로근이 활성화된다고도 한다. 어떤 것이 정답이란 말인가??  어쨌든 배가로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닿는곳작용엉덩뼈능선(장골능선, iliac crest)6~12번째 갈비연골(늑연골, costal cartilage)샅고랑인대(서혜인대, inguinal ligame..

통증 2025.02.02

배곧은근(복직근, rectus abdominis)

배곧은근(복직근, rectus abdominis)은 보통 왕(王) 자 혹은 초콜릿 복근을 만드는 근육이다. 해부학을 제대로 익히기 전에 이 근육이 배 근육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줄 알았다. 배 근육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배바깥빗근이다. 배곧은근을 강화시켜 멋있게 보일 수는 있어도, 너무 짧아진다면 체형적으로 안 좋아지고, 더 나아가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닿는곳작용두덩뼈능선(치골능선)(pubic crest)칼돌기(검상돌기)(xiphoid process)다섯 번째에서 일곱 번째 갈비연골허리 굽힘, 골반 뒤기울임, 배안압력과 가슴안압력 증가  배곧은근 근력 검사를 할 때는 양손을 머리 뒤로 깍지 끼고, 어깨뼈(견갑골)가 바닥에서 떨어지게 윗몸을 올리라고..

통증 2025.01.03

배속빗근(내복사근, internal abdominal oblique)

배속빗근(내복사근, internal abdominal oblique)은 배바깥빗근(외복사근)과 짝을 이루면서 하는 일이 많다. 물론 모든 근육이 한 가지 동작만 하지 않지만, 특히 두 근육은 몸통 돌림시에 서로 영향을 많이 주고받는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배속빗근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1) 아래앞섬유(lower anterior fibers)이는곳닿는곳작용(서혜인대의 측면 2/3, 전상장골극 근처의 장골능)(lateral 2/3 of inguinal ligament and short attachment on iliac crest near the anterosuperior spine)치골능과 치골선 중간부분, 백선에 정지(with the transverse abdominis into cr..

통증 2024.12.18

배바깥빗근(외복사근, external abdominal oblique)

배바깥빗근(외복사근, external abdominal oblique)은 배의 바깥쪽에서 대각선 방향(빗살무늬 처럼)으로 주행하는 근육이다. 주로 몸통을 돌리는데 사용된다.  옆구리살이 옆으로 처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1.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닿는곳기능다섯 번째에서 열두 번째 갈비뼈 가쪽면(5-12번째 갈비 외측연)(sternum, external suface and inferiorborders of the lower ribs)엉덩뼈능선, 백색선, 두덩결합, 샅고랑인대(치골결함, 장골능, 서혜부인대)(pubis, linea alba via an aponeurosis and the iliac crest)-양쪽 수축시: 허리굽힘, 골반 뒤 기울임, 배안압력과 가슴안압력 증가-한쪽 수축시: 몸통의..

통증 2024.12.08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 serratus poterior inferior)은 위뒤톱니근(상후거근)과 짝을 이룬다. 위뒤톱니근은 들숨(흡기)을 보조하지만, 아래뒤톱니근 날숨(호기)을 보조한다. 두 근육이 모양이 비슷하고 서로 다이아몬드 모양을 이루지만, 위치가 달라 기능이 다르게 작용한다. 갈비뼈에 붙어 있고 위쪽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이는곳닿는곳기능11번 등뼈-2번 허리뼈의 가시돌기(T11-L2 극돌기)(spinous processef of vertebrae T11-L2)9번-12번 갈비뼈의 아래쪽(9-12 늑골 하연)(lower borders of ribs 9-12)9~12번 갈비뼈를 내림날숨 보조한쪽 작용시 허리를 같은쪽으로 회전양쪽 작용시 허리를 폄  9번 등뼈..

통증 2024.12.01

위 등뼈 증후군(상부 흉추 증후군, upper thoracic syndrome)

살아가면서 통증의 원인을 몰라 고치기 어려운 질병이 있다. 그중 근골격계 통증으로 유발된 통증은 생명에 지장은 없지만, 살아가면서 상당한 불편을 느끼게 한다. 예컨대, 지속적인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소화불량, 수면장애, 움직임의 제한 등으로 말이다. 이 번에 쓰는 위 등뼈 증후군(상부 흉추 증후군, upper thoracic syndrome)도 그중 하나이다. 위 등뼈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수족냉증이다. 위 등뼈 증후군은 수족냉증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증상들도 나타나는데,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1. 정의위 등뼈 증후군은  4번 등뼈로 인해 나타나기 때문에 4번 등뼈 증후군(T4 syndrome) 이라고도 한다. 위 등뼈의 움직임 제한으로 인해 등에 통증이 나타나고, 팔 쪽으로 통..

통증 2024.11.29

위뒤톱니근(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위뒤톱니근(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은 등뼈에서 갈비뼈에 부착되어 마름근과 비슷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바깥쪽부터 어깨세모근, 마름근, 위뒤톱니근 순으로 깊이 위치하고 있어 촉진하기가 어렵다. 고황통의 한 원인이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닿는곳기능목덜미 인대, 7번 목뼈~3번 등뼈 가시돌기(C7~T3의 극돌기)둘째~다섯째 갈비뼈(2~5번 늑골)둘째~다섯째 갈비뼈를 들어올림들숨시 보조근으로 작용  첫째~다섯 번째의 갈비사이신경(늑골신경, intercost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다른 근육처럼 붉은색이 아니고, 근막과 같이  얇은 비닐처럼 생겼다. 5번째 갈비뼈에서 바깥배빗근(외복사근)과 연결된다.  갈비뼈를 들어올려 가슴을 확장시켜 들숨을 발생시키는..

통증 2024.11.21

넙다리빗근(봉공근, sartorius)

넙다리빗근(봉공근, sartorius)는 우리 몸에서 가장 긴 근육 중 하나로 제기차기 혹은 양반다리를 할 때 작용하는 주된 근육이다. 서양에서는 양반다리를 「tailor position」이라고도 하는데, 재단사들이 옷을 만들 때 주로 이런 자세를 취했기 때문이다.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이는곳닿는곳작용위앞엉덩뼈가시(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upine)몸쪽정강뼈의 앞안쪽 표면(경골체의 내측면)(anteromedial  surface of proximal tibia)엉덩관절 굽힘, 벌림, 바깥쪽 돌림무릎 굽힘 넙다리신경(대퇴신경, femor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닿는 곳에 반힘줄근(반건양근, semitendinosus), 두덩정강근(박근, gracilis), ..

통증 2024.11.0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