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근과 등 통증: 심층 분석
등 통증은 현대인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많은 원인이 있지만,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바로 복근이다. 오늘은 복근이 등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복근은 크게 배바깥빗근(외복사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곧은근(복직근), 배가로근(복횡근)으로 구성된다.
1. 핵심 코어 근육, 배가로근
배가로근은 배속빗근과 함께 등허리근막(흉요근막)에 연결되어 있다. 이 등허리근막은 넓은등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허리 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허리에 문제가 생기면 어깨에도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어깨 문제가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등허리근막 때문이다.
배가로근은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 허리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코어 근육이다. 역도 선수들이 복대를 착용하고 경기를 하는 것과 같이, 이 근육은 우리 몸의 자연 복대 역할을 한다.
2. 몸통 움직임의 주역, 배속빗근
배속빗근은 등허리근막의 장력, 복강 내압 및 흉강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한다. 양쪽 배속빗근이 동시에 수축하면 허리가 굽혀지고 골반이 뒤로 기울어지며, 명치각이 증가한다. 한쪽만 수축할 경우, 몸통은 같은 쪽으로 가쪽 굽힘(측굴)이 일어나고 같은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3. 배속빗근과의 상호작용, 배바깥빗근
배바깥빗근은 배속빗근의 근섬유와 수직을 이룬다. 이로 인해 두 근육은 유사한 작용을 하기도 하지만, 상반된 작용을 하기도 한다. 양쪽 배바깥빗근이 수축하면 허리 굽힘, 골반 뒤 기울임, 복강 내압 및 흉강 내 압력 증가가 일어나는 것은 배속빗근과 유사하다. 그러나 명치각은 감소한다. 또한, 한쪽만 수축할 경우 몸통은 같은 쪽으로 가쪽 굽힘이 일어나지만, 반대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배속빗근과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4. 선명한 복근의 상징, 배곧은근
배곧은근은 흔히 '초콜릿 복근'이라고 불리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허리 굽힘, 골반 뒤 기울임, 그리고 복강 내압 및 흉강 내 압력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복근 불균형과 등 통증의 연관성
복근과 관련된 등 통증은 명치각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이상적인 명치각은 누웠을 때 좌우 대칭을 이루고, 양쪽 갈비뼈 연골이 90~100도를 이루는 상태이다.

명치각 변화의 주요 원인 근육은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이다. 이 복근들의 근력 불균형은 명치각의 비대칭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척추의 비정상적인 회전이나 가쪽 굽힘(측굴), 심하면 척추 측만증으로 이어져 등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복근 불균형 외에도, 내장기의 상태 또한 명치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는 일반적으로 왼쪽에 위치하여 왼쪽 명치각이 오른쪽보다 벌어지거나 솟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위가 소화 과정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반대로 오른쪽 명치각이 작거나 납작한 경우는 간이 위치한 부위이다. 스트레스나 음주로 인해 간에 부담이 가해지면 간 주변 근막의 활동성이 저하되어 명치각 변화를 일으키고, 특히 오른쪽으로의 가쪽 굽힘이 어려워질 수 있다.
6. 등 통증 해결을 위한 접근법
이러한 등 통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의 근력 불균형 해소: 전문적인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이 두 근육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내장기 주변 근막 불균형 해소: 위와 간 주변의 근막 불균형 또한 해결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 생활 습관 개선: 등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운동 및 작업 자세 변경, 스트레스 관리, 과식 및 음주를 피하는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건강은 잃기 전에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꾸준한 관리와 올바른 생활 습관으로 건강한 허리와 등을 유지하시길 바란다.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황통 (등 통증 5) (0) | 2024.01.03 |
---|---|
등 통증 발생 원인 4 (0) | 2024.01.01 |
등이 아픈 이유 2 (1) | 2023.12.28 |
등이 아픈 이유, 어깨가 아픈 이유 1 (0) | 2023.12.26 |
목이 아프고, 어깨가 아픈 이유 (위등세모근) 5 (1)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