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안아프게 2024. 2. 1. 06:05
728x90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은 어릴 적 로보트 만화에 강철 팔을 상징하는 것과 같았다. 어깨와 팔을 이어주면서 강하고 둥그런 모양으로 말이다. 어깨세모근은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운동 혹은 팔 힘을 쓰는 직업)이라면 다른 근육보다 선명함이 잘 나타난다.  다른 오목위팔관절(상완관절, glenohumeral joint) 근육에 비해 두껍고, 면적이 넓어 충격 흡수에 용이하여 여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1차적 근육이다. 근육이 두꺼워 팔에 주사를 놓는 부위이다.  어깨세모근은 면적이 넓어 7개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통 3개 부위로 나뉜다.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어깨세모근은 앞(전부, anterior), 중간(중부, middle), 뒤(후부, posterior)으로 나뉜다. 앞어깨세모근(전삼각근)은 빗장뼈의 가쪽(쇄골 외측) 1/3 지점부터 시작, 중간어깨세모근(중삼각근)은 어깨뼈봉우리(견봉)에서 시작, 뒤어깨세모근(후삼각근)은 어깨뼈의 가시 가쪽(견갑극의 외측)에서 시작하여 모두 위팔뼈의 어깨세모근 거친면(상완골 외측면 중간의 삼각근 결절 조면)에 붙는다. 해부하여 넓게 펼치면 세모 모양이 되어 세모근이라 불린다.

 근육이 넓어 위치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 앞어깨세모근은 팔 굽힘(굴곡), 안쪽돌림(내회전), 수평 모음(내전, horizontal adduction)을 한다. 중간어깨세모근은 팔 벌림(외전)을 한다. 뒤어깨세모근은 팔 폄(신전), 가쪽돌림(외회전), 수평 벌림(외전, horizontal abduction)을 한다.

 각각의 섬유가 따로 작용하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고, 팔의 벌림은 중간어깨세모근이 주동적으로 하고, 앞과 뒤 어깨세모근은 이 동작을 도와주는 협력근 역할을 하여 강한 벌림을 하게 해준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오목위팔관절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가시위근과 함께 초기 어깨 벌림 움직임을 수행하는데, 벌림의 모든 각도에서 작용하며, 90~180도 벌림시에 최대 수축력이 나타난다. 90~180도 어깨 벌림이 일어날 때는 어깨뼈의 움직임이 같이 일어나야 된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어깨세모근 모두 목 신경 5, 6번에서 나오는 겨드랑신경(액와신경, axillary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어깨세모근 벌림>

 

2. 통증 양상

 어깨세모근 부위에 통증이 주로 발생한다. 앞어깨세모근의 통증은 위팔두갈래근 긴갈래(이두박근 장두, biceps brachii long head), 부리위팔근(오훼완근, coracobrachialis)의 통증 부위와 유사하다. 뒤어깨세모근의 통증은 작은원근(소원근), 큰원근(대원근)의 통증 부위와 비슷하다. 어깨세모근의 통증은 어깨세모근 아래쪽에 있는 근육의 손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반대쪽 어깨나 목에 손을 가져가는 동작을 할 때 통증이 나타난다. 어깨관절염, 어깨세모근 아래(삼각근하) 점액낭염, 어깨돌림띠(회전근개) 손상으로 오인할 수 있다. 

3. 관련질환

 뒤어깨세모근이 단축되거나 마름근이나 등세모근보다 늘어나지 않는다면 수평 모음(내전) 시 날개어깨뼈(익상근, winging scapular)가 발생한다. 

 작은원근보다 뒤어깨세모근이 우세할 때, 어깨관절의 앞쪽 또는 앞안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위팔뼈 앞쪽 미끄러짐(상완골 전방활주)에도 관여한다. 80~180도 어깨관절 굽힘 시 통증이 증가하고, 과도한 폄, 수평 모음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어깨세모근이 단축되어 팔을 벌릴 때, 위팔뼈머리를 위쪽으로 당긴다. 그 결과 위팔뼈머리(상완골 대결절)가 어깨봉우리(견봉) 또는 봉우리빗장인대(견쇄인대, acromioclavicular ligament)에 끼임이 발생해 통증이 발생한다. 가시위근건의 손상도 발생할 수 있다. 어깨세모근뿐만 아니라 큰원근, 작은원근, 가시아래근이 짧아도 비슷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유착성 관절주머니염(adhesive capsulitis) 혹은 오십견(frozen shoulder)이 발생하면, 움직임이 줄어들면서 어깨세모근의 단축이 발생한다. 어깨세모근의 단축이 먼저인지 관절의 문제가 먼저인지는 모른다.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유착성 관절주머니염이 나타나면 어깨세모근의 단축이 발생한다. 

4. 관리방법

 어깨에 부착된 근육의 관리는 항상 어깨의 정렬부터 검사해야 한다.

참고로, 어깨 정렬은 아래 그림을 눌러 보기 바란다.

<어깨 정렬>

 그 후 오목위팔관절(상완관절)의 가동범위를 확인한다. 

 

 예컨대, 위등세모근(상승모근)이 이완되어 어깨봉우리가 처지면, 팔을 벌림 할 때, 위팔뼈머리가 어깨뼈봉우리에 부딪히는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위등세모근이 단축되면, 어깨봉우리가 위쪽을 향하게 되어, 어깨세모근에 지속적인 긴장을 주게 된다. 물론, 등세모근뿐만 아니라 어깨뼈 주위 모든 근육들을 살펴봐야 한다.

 어깨돌림띠(회전근개)가 동작을 할 때마다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가쪽돌림시 어깨세모근의 보상작용을 막 위해 가시아래근, 작은원근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쪽돌림시 어깨밑근(견갑하근)이 위팔뼈머리를 아래 뒤쪽으로 당기게 하여, 어깨 앞쪽 관절주머니에 전해지는 과부하를 줄인다.

5. 마무리

 어깨세모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깨뼈의 정렬, 오목위팔관절의 가동범위, 어깨돌림띠의 정상작동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728x90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인대와 통증  (0) 2024.02.20
부리위팔근(오훼완근, coracobrachilalis)  (0) 2024.02.05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  (0) 2024.01.30
작은원근(소원근, teres minor)  (0) 2024.01.28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  (0) 202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