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

안아프게 2024. 1. 25. 06:32
728x90

---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어깨 건강의 숨은 열쇠

가시아래근(infraspinatus)은 이름 그대로 어깨뼈 가시(scapular spine)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근육이다. 가시위근(supraspinatus)과 비슷하게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이름이 붙었지. 가시아래근 역시 어깨의 중요한 안정화 근육인 돌림근띠(회전근개, rotator cuff) 중 하나이다.

<가시아래근>

---

1. 가시아래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가시아래근은 어깨뼈 가시(견갑골 극)와 어깨뼈 가시아래오목(극하와, infraspinatus fossa) 안쪽 2/3 지점의 골막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큰결절(상완골 대결절, greater tubercle of humerus)에 붙는다. 이 근육은 뒤어깨세모근(후부삼각근)아래등세모근(하부승모근)에 덮여 있으며, 일부만 겉으로 보인다. 어깨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바깥돌림(외회전)을 담당하고, 가시위근과 마찬가지로 어깨위신경(견갑상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가시아래근은 어깨 벌림 시 위팔뼈(상완골)를 바깥돌림하여 위팔뼈 큰결절과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과의 충돌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팔을 벌릴 때 '뚝'하는 소리가 난다면 가시아래근의 문제를 한번쯤 생각해 볼 수 있다.

---

2. 가시아래근 통증 부위와 증상

가시아래근의 통증은 목갈비근(사각근)의 통증 부위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어깨관절 앞쪽, 위팔 앞 바깥쪽, 아래팔 바깥쪽, 그리고 엄지손가락 쪽으로 방사통이 퍼질 수 있다. 때로는 고황통처럼 어깨뼈 안쪽 면에도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가시아래근이 단축되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어깨관절의 바깥돌림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허리 뒤로 손이 돌아가면서 어깨의 모음(내전)과 안쪽돌림(내회전)이 이루어져야 하는 '핸드 투 숄더 블레이드 테스트(hand to shoulder blade test)'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한마디로 허리 뒤로 손이 잘 안 가서 등을 긁거나 큰일을 본 후 뒤처리 하기가 힘들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어깨 벌림(외전)과 바깥돌림(외회전)을 유발하는 동작인 '마우스 랩 어라운드 테스트(mouth wrap around test)'는 가시아래근이 정상적으로 수축하는지 검사하는 방법이다. 손을 머리 뒤로 돌려 반대쪽 귀를 지나 입에 닿게 하는 방식인데, 이때 머리를 검사하는 팔의 반대쪽으로 45도 이상 돌리거나(입이 손을 마중 나가면 안 된다), 목을 기울이면 안 된다. 손이 귀까지만 가면 가시아래근의 단독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목 뒤에도 손이 닿지 않으면 어깨밑근(견갑하근, subscapularis)의 손상도 함께 의심해 볼 수 있다.

문헌상으로는 통증 부위에 과도한 땀이 나는 자율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지만, 개인적인 임상 경험으로는 아직 그런 환자는 보지 못했다.

경락과 관련된 이야기를 덧붙이자면, 가시아래근은 수태양소장경이 지나가는 자리이다. 소장경은 소장의 특징인 비별청탁(秘別淸濁: 영양과 노폐물을 구별)의 특징을 갖고 있다. 심리적으로는 '이걸 할지 저걸 할지' 고민하는 양상과 연결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특별한 이유 없이 가시아래근이 아프다면, 혹시 고객이 선택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물어보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

3. 가시아래근 관리

가시아래근은 어깨뼈에 붙어 있으면서 근육 자체가 얇기 때문에 너무 세게 자극하면 어깨뼈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전기, 도수 치료를 강하게 할 경우 어깨뼈의 골막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너무 세게 자극하면 오히려 안 해주니만 못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시아래근 손상은 둥근어깨체형(round shoulder)에서 많이 발견된다. 둥근어깨체형은 어깨뼈의 안정성이 떨어져 가시아래근에 과부하를 주면서 손상될 확률이 높아지는 경우다. 따라서 어깨뼈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앞톱니근(전거근), 마름근(능형근), 등세모근(승모근)을 함께 평가해야 한다. 가시아래근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깨의 정상 체형을 먼저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어깨의 정상 체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을 눌러 확인해 보길 바란다.

<어깨 정렬과 체형>

가시아래근에는 '천종'이라는 포인트가 있다. 문헌상으로는 유방 창통, 젖몸살 등 가슴 쪽 통증 관리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아마 가슴 쪽 피부로 전달되는 가시아래근의 방사통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겠지. 하지만 개인적인 능력 부족이었는지, 젖몸살에는 이 천종이 딱히 효과가 없었다.

또 다른 포인트는 위 그림상 연두색으로 표시한 부분이다. 압통점(trigger point)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는 효과가 훨씬 뛰어났다. 그래서 주로 이 포인트로 관리를 하고 있다.

---

4. 마무리

가시아래근도 제대로 관리하려면 다른 근육과의 연관성, 체형, 작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가시아래근만 단순하게 관리해서는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고객의 심리 상태도 잘 보면서 만족스러운 관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