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

안아프게 2024. 1. 30. 06:10
728x90

---

큰원근(teres major): 어깨 움직임의 숨은 조력자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작은원근(소원근)과 비슷하게 원형의 모양을 띠지만, 작은원근보다 크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큰원근>

---

1. 큰원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큰원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이는곳 (Origin): 어깨뼈의 아래각(하각, inferior angle) 및 가쪽 가장자리(외측연, lateral border) 아래쪽
  • 닿는곳 (Insertion): 위팔뼈의 두갈래근고랑(상완골 소결절능, bicipital groove of humerus) 안쪽선 (넓은등근 부착 부위와 겹친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삼두박근 장두)에 의해 눌려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작은원근, 큰원근, 위팔세갈래근 긴갈래가 이루는 사각공간(quadrangular space)을 통해 겨드랑신경(액와신경, axillary nerve)이 통과한다. 만약 이 세 근육 중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생겨 겨드랑신경이 영향을 받는다면, 겨드랑신경의 지배를 받는 작은원근어깨세모근(삼각근) 또한 기능에 영향을 받게 된다. 자기 자신을 지배하는 신경에 스스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원근은 독특한 근육이라 할 수 있다.

어깨뼈가 고정된 상태에서 큰원근은 위팔의 모음(내전), 안쪽돌림(내회전), 폄(신전)을 담당한다. 반대로 위팔이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어깨뼈의 위쪽돌림(상방회전, upward rotation) 혹은 벌림(외전, abduction)이 일어난다. 이러한 기능에서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큰원근이 단축되면 어깨뼈가 위팔뼈 쪽으로 이동하여 마름근을 이완시키고, 마름근의 이완은 가슴 근육들을 수축시켜 둥근어깨(round shoulder)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한 가지 원인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역순의 변화 또한 가능하다. 인체는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움직인다.

큰원근어깨밑신경(견갑하신경, subscapul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어깨밑신경은 다시 가시위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시위근의 특징은 아래 그림을 눌러 확인해 보길 바란다.

<가시위근>

---

2. 큰원근 통증 양상

큰원근 통증은 주로 어깨세모근 뒤쪽에 집중되어 발생한다.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 위팔 바깥쪽, 아래팔 뒤쪽(팔꿈치에서 손등 쪽으로)으로 방사통이 나타날 수 있다. 큰원근 자체는 팔꿈치에 통증을 직접 유발하지 않지만, 위팔세갈래근에 통증을 발생시켜 이차적으로 팔꿈치의 가쪽위관절융기(외측상과, lateral epicondyle)에 통증을 유발하여 테니스 엘보(tennis elbow)와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저항이 있는 어깨관절의 폄(신전)과 안쪽돌림(내회전) 시 통증이 많이 발생하며, 팔을 움직이다가 순간적으로 '뜨끔'하는 느낌이 들거나, 촉진 시 강한 압통이 나타날 수 있다.

---

3. 큰원근 길이 검사 방법

큰원근의 길이를 검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한다.
  2. 대상자의 어깨와 팔꿈치를 각각 90도 정도 굽힌다.
  3. 검사자는 한 손으로 대상자의 어깨뼈 가쪽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 팔꿈치를 잡는다.
  4. 대상자의 위팔뼈를 완전하게 가쪽돌림(외회전) 시킨다.
  5. 팔꿈치를 잡은 손을 대상자의 머리 위로 올린다. 이때 어깨뼈 아래각이 중간 겨드랑이선(몸통 가쪽의 중간, mid-axillary line)을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정상적인 경우, 팔이 150도까지 올라가야 한다.

---

4. 큰원근 관리 방법

어깨 관리의 핵심은 어깨의 정렬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어깨 정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을 눌러 확인해 보길 바란다.

<어깨 정렬>

정렬 확인 후, 위에 언급된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에 관련된 근육들을 함께 살펴봐야 한다. 예를 들어, 어깨뼈 하각이 바깥돌림되어 있다면 마름근의 이완성 긴장 발생 가능성이 크다. 이럴 때는 마름근의 근력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위팔이 안쪽돌림 되어 있다면, 위팔 안쪽돌림의 강력한 근육인 큰가슴근(대흉근)넓은등근(광배근)의 길이 검사도 함께 수행해야 한다. 이 근육들의 단축으로 인한 위팔 안쪽돌림 체형은 큰원근의 단축성 긴장을 더욱 가속화시킨다.

또한, 큰원근을 누르는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는 팔을 몸에 붙이면서 폄하는 동작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큰원근이 자극을 받고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에 의해 영향을 받은 체형에서는 마름근도 수축하게 되며, 몸통보다 팔이 뒤쪽으로 가는 모양이 자주 나타나고, 팔이 몸에 붙어 있어 겨드랑이에 땀이 잘 차는 경향이 있다.

---

5. 마무리

단순한 마사지보다는 어깨의 체형 평가어깨뼈 주위 근육 검사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큰원근을 포함한 어깨 통증 관리에 효과적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