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육과 근막의 구조
근육과 관련된 통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육과 근막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복잡한 해부학적 설명 없이 간단한 개념으로 살펴보자.
근육과 근막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패턴을 따른다. 근육은 여러 개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근섬유는 근막(fascia)이라는 결합 조직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근육과 근막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근육: 장조림을 먹을 때 한 줄씩 떨어지는 것을 떠올려 보자. 이는 근육이 여러 개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근막: 근육을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이를 쉽게 이해하려면 빨대 다발을 랩으로 감싼 형태를 생각하면 된다. 근막은 단순히 근육을 통째로 감싸는 것이 아니라, 각 근섬유를 개별적으로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막은 서로 연결되면서 힘줄(tendon)과 골막(periosteum)을 형성하며, 근육과 뼈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골막은 마치 접착제처럼 근육과 뼈를 단단히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매우 질긴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근육과 근막의 특징
(1) 근육
1) 운동 기능
근육은 뼈와 연결되어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신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근육을 수의근(voluntary muscle)이라고 하며, 내장 근육이나 심장 근육처럼 의지와 관계없이 움직이는 근육을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이라고 한다.
2) 뼈 보호 기능
근육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뼈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정강이 부위는 근육이 적어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근육량이 많은 부위는 상대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3) 호흡 기능
횡격막(diaphragm)은 호흡을 담당하는 주요 근육으로, 흉강의 부피를 조절하여 폐의 확장과 수축을 돕는다. 척수 손상으로 인해 횡격막 신경(phrenic nerve)이 마비될 경우, 자발적인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다.
4) 순환 및 신경 기능
근육은 혈액과 림프 순환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신경과 혈관이 압박을 받아 손 저림이나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근육의 움직임이 부족하면 혈류 정체로 인해 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방 축적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2) 근막
근막 연구회(Fascial Research Congress)는 근막 시스템을 '신체에 스며드는 부드럽고 콜라겐을 함유하고 있는, 느슨하고 조밀한 섬유질 결합 조직의 3차원적 연속체로 정의한다. 근막 시스템은 지방 조직, 외막 및 신경혈관 초, 건막, 심부 및 표층 근막, 신경외막, 관절 캡술, 인대, 막(membranes), 수막, 근근막 확장, 골막(periostea), 지지대(retinacula-아대 혹은 보호대 같은 역할), 격막, 힘줄/건, 내장근막 및 근내막/근주막/근외막을 포함하는 모든 근내 및 근간 결합 조직 같은 요소를 통합한다. 근막 시스템은 모든 장기, 근육, 뼈 및 신경 섬유를 둘러싸고, 그것들 사이를 서로 엮고, 상호 침투하여 신체에 기능적 구조를 부여하고 모든 인체 시스템이 통합된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근막 경선 해부학 4판에서 인용) 이처럼 근막은 어느 특정 부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마치 우주복처럼 전신을 둘러싸고 몸 속 깊은 곳까지 존재한다.
근막은 단순한 보호막이 아니라,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1) 신체 형태 유지
근막은 근육과 뼈를 감싸며 신체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근막이 약해지거나 손상되면 자세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2) 장기 보호 및 지지 기능
근막은 신경, 혈관, 근육을 포함한 신체 구조물을 감싸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기들이 올바른 위치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3) 항상성 유지 기능
근막은 조직 내 체액의 흐름을 조절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지방층을 감싸 체온 조절을 돕고, 면역 기능을 지원한다.
4) 고유수용성 감각 및 운동 조절
근막은 신체의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과 말초 운동 조절(peripheral motor coordination)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근막의 상태가 변하면 신체 균형과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근막이 손상되거나 유착이 발생하면 신체 기능 이상과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특정 부위의 문제가 전신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아리 근막을 이완했을 때 허리 통증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3. 근육과 근막의 통합
근육과 근막은 신체 기능 유지에 있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근육과 근막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부위의 문제가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수치료(manual therapy)나 운동 요법(exercise therapy)은 근막과 근육을 함께 고려하여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근막의 유연성을 회복하는 것이 우선인지, 근육의 강화를 먼저 해야 하는지는 개별적인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근육과 근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접근법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이복동, 근육과 통증
Carla Steco, Functional Atlas of the Human Fascial System(번역본, 근막시스템의 기능해부학)
Thomas W. Myers, Anatomy Trains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과 어깨가 아픈 이유 1 (6) | 2023.12.11 |
---|---|
근골격계 통증을 악화 시키는 요인 (0) | 2023.12.08 |
근막통증증후군 관리하기 (0) | 2023.12.06 |
근막통증증후군 (1) | 2023.12.04 |
만성 통증 (4)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