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위팔두갈래근(이두박근, Biceps brachii)

안아프게 2024. 3. 29. 20:47
728x90

 위팔두갈래근(이두박근, biceps brachii)은 일명 알통 근육이다. 남성미를 과시하거나 힘자랑을 할 때, 팔을 구부리고 힘을 주면 불뚝 솟아오르는 근육이다. 이 근육의 다른 이름인 이두박근의 뜻에 대해 알아보자. 이두(二頭)는 머리가 두 개 있다는 뜻이고, 박(膊)은 팔뚝을 의미하고, 근(筋)은 근육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머리가 두 개 있는 팔뚝에 있는 근육이라는 말이다. 혹은 상완이두근(위쪽 팔에 있는 머리 두 개 있는 근육)이라고도 한다. 개인적으로 한글화 한 이름을 좋아한다. 위팔에 있는 두 개의 갈래가 있는 근육이라는 뜻의 위팔두갈래근이 한자를 읽는 것보다 더 직관적이지 않은가?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위팔두갈래근>

  이는곳(origin)
닿는곳(insertion)
긴갈래(장두, long head) 어깨뼈의 어깨위결절
(견갑골 관절와 상연)
(supraglenoid tubercle of the scapula)

노뼈 거친면, 위팔두갈래근 널힘줄
(요골조면)
(radial tuberosity and bicipital
aponeurosis)
짧은갈래(단두, short head) 어깨뼈의 부리돌기
(견갑골 오구돌기)
(coracoid process of the scapula)
노뼈 거친면
(요골조면)
(radial tuberosity)

 

 근육피부신경(근피신경, musculocutaneus nerve)에 의해 지배를 받는데, 이 신경은 목신경 5, 6, 7번의 지배를 받는다. 신경학적 검사를 할 때는 주로 5번 목신경의 이상이 있나 없나를 판별하는 주된 근육이다. 

 

 위팔두갈래근은 어깨, 팔꿈치, 아래팔(전완, forearm)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알아보자. 긴갈래는 어깨관절의 굽힘(굴곡, flexion) 시 보조 기능, 어깨 벌림 시 위팔(상완, humerus)이 바깥돌림(외회전)을 한다. 이 바깥돌림으로 인해 어깨머리뼈와 부리돌기의 충돌을 예방한다. 위팔뼈머리(상완골두, humerus head)를 어깨뼈의 관절오목(관절와)에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짧은갈래는 어깨관절의 굽힘, 벌림(외전, abduction), 수평모음(수평 내전, horizontal adduction)을 한다. 그리고, 위팔뼈머리를 어깨뼈 위쪽으로 압박해 어깨뼈머리의 하방 탈구를 예방한다. 짧은갈래 단축 시에 어깨뼈의 하방회전(downward rotaiton) 또는 앞쪽 기울임(anterior tilting)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어깨뼈의 움직임이 나타났을 때, 어깨뼈를 고정시키고 팔꿈치를 굽힐 때와 고정시키지 않고 팔꿈치를 굽힐 때 근력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팔꿈치에서는 아래팔을 구부리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아래팔에서는 뒤침(회외, supination)을 담당한다. 이런 근육의 기능 때문에 위팔두갈래근의 최대 힘을 내기 위해서는 아래팔을 뒤침 한 상태에서 팔을 구부려야 한다. 아령을 들 때, 손바닥이 위로 가게 한 상태에서 들어야, 알통이 크게 생기는 이유이다. 만약, 위팔두갈래근이 약화된다면, 아래팔이 엎침(회내, pronation) 된 상태의 체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위팔두갈래근이 약하다면 위등세모근(상승모근)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물건을 들 때, 위팔두갈래근이 약하게 되면 위등세모근을 과도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어깨관절 앞부분 (앞어깨세모근 부위)과 팔꿈치 앞부분에 통증이 제일 많이 발생한다. 어깨관절 앞부분  통증으로 인해 어깨세모근밑윤활낭염(삼각근하 점액낭염, subdeltoid bursitis)으로 오해할 수 있다. 팔을 어깨 높이보다 더 높이 들 때, 통증이 크게 나타난다. 어깨 높이의 통증은 어깨세모근(삼각근)과 관계가 깊다.

 어깨에 통증이 있지만, 아픈 팔이 밑으로 가게해서 옆으로 누울 수 있고, 허리 뒤로 손을 가져갈 수 있다. 통증 부위가 비슷하지만 허리 뒤로 손을 가져갈 수 없는 것은 부리위팔근(오구완근)의 문제이다.

3. 관리의 기초

 위팔두갈래근의 문제(특히 약화)는 위등세모근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위팔두갈래근의 약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근육피부신경을 지배하는 목신경 5~7번의 눌림을 해결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5, 6번 신경의 눌림 문제를 해결한다. 어깨가 아프다면, 위팔두갈래근의 근력 검사를 하는 것이 필수이다.

 그리고, 어깨의 정렬을 이상적인 자세(이 글에 대한 포스팅이 있으니 찾아보시면 될 것이다)로 맞추는 쪽으로 운동과 스트레칭을 한다. 근력은 근육의 길이와 고정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근육의 길이는 중간 부위에서 가장 큰 힘을 발생하고, 고정점이 있어야 제대로 된 힘을 발생시킨다. 줄다리기를 할 때, 바닥이 미끄럽다면 제대로 힘을 발생시킬 수 있겠는가?

 어깨 정렬을 맞추는 것과 함께 당연히 허리 정렬과 코어의 힘을 기른다면 금상첨화 일 것이다.

 신경의 눌림과 어깨 정렬을 맞추기 위해, 마사지나 온열관리,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다. 기본 원리에 입각해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적용하면 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