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안아프게 2025. 3. 27. 19:16
728x90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은 정강이 앞쪽에 위치한 주요 근육으로, 발목을 발등 쪽으로 올릴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장시간 걷거나 무거운 신발을 신고 이동할 때 피로감을 느끼기 쉬운 근육 중 하나다.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앞정강근>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 이는 곳: 정강이뼈(경골)의 안쪽

- 닿는 곳: 발 안쪽(안쪽 쐐기뼈 및 첫째 발허리뼈)

- 기능: 발목관절에서 발을 발등 쪽으로 굽힘(배측 굽힘), 목말밑관절(거골하관절)에서 안쪽번짐(회외, supination) 작용, 족궁(발아치) 유지에 기여한다.

 앞정강근은 깊은종아리신경(심비골신경, deep peroneal nerve, L4~S1)의 지배를 받는다. 따라서 허리 신경 검사 시 L4 신경근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근력이 약화되면 발이 땅에 끌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보행 시 넘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러한 경우 무릎과 엉덩이를 과도하게 들어 올려 걸어야 하는 특유의 보행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1) 통증 부위

앞정강근에 이상이 생기면  발목 앞 안쪽,엄지발가락 발등과 정강이 부위 부위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증상 및 특징

-발목과 정강이까지 방사통이 퍼질 수 있음

-야간에는 통증이 덜한 경향이 있음

-발목 관절을 다친 적이 없어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음

-높은 굽의 신발을 자주 신으면 근육 긴장이 증가할 수 있음

-앞정강근이 약하고, 발가락폄근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발등 힘줄이 도드라져 보일 수 있음

3. 관리방법

1) 마사지 및 스트레칭

-마사지: 앞정강근 부위를 손으로 눌러 근육의 긴장을 완화함

-스트레칭: 종아리 근육(비복근, 가자미근)을 이완시켜 앞정강근의 부담을 줄임

-발목 운동: 발목을 천천히 발바닥 방향으로 움직여 근육을 풀어줌

2) 신발선택

높은 굽의 신발을 자주 신으면 앞정강근의 피로가 누적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코어근육 강화

 코어근육(복부, 허리)이 약하면 앞정강근과 넙다리네갈래근에 부담이 증가해 보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코어근육 강화 운동을 병행하면 보행 시 균형을 유지하고 근육의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4) 동약의학적 접근

- 앞정강근은 동양의학에서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이 지나가는 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압통점 중 하나인 족삼리(ST36)와 유사한 위치에 있다.

- 소화 기능과의 연관성: 소화불량이 있을 때 앞정강근 부위를 눌러 마사지하면 속이 편안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운동과 마사지: 발목을 움직여 앞정강근의 활동을 촉진하면 소화기능이 원활해지고 근육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

4. 결론

 앞정강근은 하지의 주요 근육 중 하나로, 보행과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력이 약해지면 보행 이상과 넘어짐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미리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 제시한 관리 방법을 실천하면 앞정강근의 건강을 유지하고 보행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주의사항》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질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전문가와 상담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