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안아프게 2024. 1. 23. 06:36
728x90

---

가시위근(supraspinatus):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

먼저, 가시위근(supraspinatus)이란 말뜻부터 알아보자. 가시위근이 있는 어깨뼈에서 옆으로 길게 튀어나온 뼈를 '가시'라고 하고, 한자로는 '극(棘, 가시 극)'이라고 부른다. 이 가시 위쪽에 있다고 해서 가시위근, 즉 극상근(棘上筋)이라고 이름 붙여졌지. 의학용어도 같은 의미다. 해부학 용어는 이렇게 단순하게 이름이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름의 의미를 알면 근육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가시위근>

---

1. 가시위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가시위근어깨뼈의 가시위오목(견갑골의 극상와, suprascapular fossa)에서 시작해서 위팔뼈의 큰 결절(상완골의 대결절, greater tubercle)에 붙는다. 특이한 점은 부리봉우리활(오구견봉 궁, coracoacromial arch)을 통과한다는 거야. 이런 해부학적 구조 때문에 찝힘(impingement) 손상을 쉽게 입고, 이로 인해 파열도 잘 발생하는 근육이지. 이 근육은 5번 목신경에서 시작된 어깨위신경(견갑상신경, suprascapul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가시위근돌림근띠(회전근개, rotator cuff) 중 하나로서, 어깨관절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인 근육이야. 위등세모근(상승모근), 중간어깨세모근(중부 삼각근)과 함께 **어깨 벌림(외전)** 기능을 하는데, 특히 어깨 벌림 초기 30도 정도까지는 이 근육이 주로 작용하게 된다. 그렇다고 30도 이상부터 아예 작용을 안 하는 건 아니고, 다른 근육들이 더 우세하게 작용하는 것뿐이다. 그리고 어깨를 굽힘(굴곡, 앞으로 들어 올림) 할 때 보조근으로도 기능한다.

---

2. 가시위근 통증 양상과 증상

가시위근에 문제가 생기면 주로 중간어깨세모근(중부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퍼진다. 어깨세모근 아래 점액낭염과 통증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팔을 벌리거나 굽힘, 또는 폄 할 때 '뜨끔'하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팔을 벌릴 때 '딸깍'하는 소리(clicking sound)가 나기도 한다.

둥근어깨체형(round shoulder)인 경우, 부리봉우리인대(오구견봉인대, coracoacromial ligament)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roclavicular joint)에 의해 가시위근이 눌리면서 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이 발생하여 어깨관절 앞쪽 부위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가시위근의 만성적인 단축이나 손상, 혹은 둥근어깨체형 때문에 가시위근을 지나는 어깨위신경(견갑상신경, suprascapular nerve)이 눌리게 되면,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에 통증이나 근 위축이 발생할 수도 있다.

---

3. 가시위근 검사법

가시위근에 문제가 있을 때 검사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들을 소개할게. 다만, 아래 이학적 검사법들의 단점은 아주 정확하지 않다는 거야. 양성인 사람을 양성으로 판단하는 민감도(sensitivity)와 음성인 사람을 음성으로 판단하는 특이도(specificity)가 연구 결과마다 조금씩 다르거든. 아래 검사법으로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다른 검사(영상진단 등)를 꼭 해보길 바란다.

(1) 통증활(painful arc) 검사

통증활은 팔을 벌릴 때 60~120도 각도에서 가시위근 힘줄이 눌리면서 통증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검사법이다. 이걸 통해 가시위근에 이상이 있나 알아보는 거지. 하지만 이건 단순한 현상일 뿐, 왜 가시위근에 이상이 생기는지 원인을 아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어깨 벌림을 하는 동안 오목위팔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과 어깨뼈의 위쪽돌림이 2:1의 비율로 움직이는 것을 위팔어깨리듬(견갑상완리듬, scapulohumeral rhythm)이라고 한다. 이 리듬이 깨지면 통증활이 나타날 수 있어. 통증활이 나타난다면 이 리듬을 제일 먼저 체크해 봐야 해. 봉우리아래윤활주머니염(견봉하점액낭염, subacromial bursitis), 돌림근띠의 힘줄주위염(회전근개 힘줄염), 충돌증후군 등도 이 위팔어깨리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할 확률이 크다.

다시 말해서, 통증활이 나타나는 건 단순히 가시위근만의 문제가 아니라, 어깨상완리듬이 깨진 것이 원인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2) Empty Can Test (Jobe Test, 깡통 비우기 검사)

팔을 90도 굽힘하고, 엄지손가락이 아래로 향하도록 안쪽돌림 시킨다. 그 후 팔을 30도 정도 벌려주고, 대상자가 팔을 위로 올리려고 하는 동안 검사자는 팔에 저항을 준다. 이때 통증이 발생하면 가시위근 힘줄이나 근육의 파열, 또는 어깨위신경의 신경병변을 의심해 볼 수 있다.

---

4. 가시위근 관리 방법

관리 방법은 무척 많지만, 개인적으로 임상에서 활용하면서 효과가 좋았던 방법을 소개해 볼게. 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칠해 놓은 곳이 바로 **관리 포인트**이다. 왼쪽의 포인트는 어깨올림근가시위근 근막이 만나는 어깨위각 부분이고, 오른쪽 포인트는 가시위근의 건(힘줄) 부분이다. 개인적인 임상례를 들자면, 환자 말로는 진단상 가시위근이 1/2 파열되었는데, 이 포인트로 관리해주면서 완치되어 수술을 안 했던 기억이 있다. 이 포인트 관리로 통증을 줄이고, 움직임을 회복하고, 이후 근력 운동도 함께 진행했다.

---

5. 마무리

어깨 질환, 특히 가시위근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일 먼저 위팔어깨리듬을 평가하고 이상이 있다면 이걸 정상으로 회복시켜줘야 한다. 예컨대, 어깨상완리듬을 깨트리는 한 가지 이유가 그림에 나와 있는 어깨올림근이다. 어깨올림근이 손상되었거나 단축되었다면 어깨뼈 위쪽돌림(scapular upward rotation)이 잘 발생하지 않아, 가시위근이 손상을 당할 확률이 크다. 물론 둥근 어깨 같은 체형의 문제도 위팔어깨리듬을 변화시키는 한 가지 요인이 되니, 체형의 문제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