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어깨가 아픈 이유, 신경 문제

안아프게 2024. 2. 26. 20:45
728x90

 어깨가 아픈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을 그동안의 글에서 소개했다. 이번에는 신경의 문제로 인한 어깨 통증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다. 신경에 문제(특히 척수 신경 중 운동을 담당하는 부분)가 생기면 신경의 문제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해도, 근육이 제대로 힘을 못 쓰면서 기능이상을 일으켜 이와 연관되어 근육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번에는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근육이 위등세모근(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을 지배하는 척수더부신경(제11뇌신경, accessory nerve)에 대해서 알아보자.

 위등세모근에 대한 글은 아래 그림을 눌러보기 바란다.

<위등세모근>

 

위등세모근은 척수더부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더부신경>

 척수더부신경은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뇌줄기(뇌간, brain stem)의 한 부분인 숨뇌(연수, medulla)와 목신경 1~4번에서 만들어지는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내장기를 주관하는 미주신경(제10 뇌신경, vagus nerve)과도 연결된다.

1. 해부학적 구조적 특징으로 인한 통증 예측

 이런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예측해 볼 수 있는 것이 있다. 

 첫 번째,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자극이다. 위등세모근은 뇌에서 직접 연결되는 척수더부신경에 의해 다른 어떤 근육보다 뇌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우리가 보통 스트레스받으면 어깨가 뭉치고 결린다고 표현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런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한다. 

 두 번째, 미주신경과의 연결로 인해 소화기능 이상이 어깨 통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추측해 볼 수 있다. 물론 복부가 수축하여 굽은 등 체형이 어깨 통증에 영향을 준다. 굽은 등 체형에 관한 내용은 아래 그림을 눌러 보기 바란다.

<굽은 등 체형>

 이런 체형이 아니더라도 신경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소화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어깨에 통증을 일으키리라 추축해 볼 수 있다.

 세 번째, 목의 이상 혹은 기능장애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척수더부신경이 목신경에 의해서도 연결이 되니 목에 이상이 생기면 척수더부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위등세모근과 척수부신경의 구조는 참 특이하다. 위등세모근이 목에 영향을 미쳐서 척수더부신경에 영향을 주고,  다시 척수더부신경이 위등세모근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위등세모근의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목의 움직임과 기능을 회복하고, 척수더부신경의 포착(entrapment)까지 같이 관리해줘야 한다.

 마지막으로, 척수더부신경이 뇌(특히 뇌간)의 기능이상 혹은 호르몬의 이상으로 문제가 생기면 나비뼈(접형골, sphenoid bone)를 눌렀을 때 통증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2. 척수더부신경이상으로 인한 어깨 움직임 특징

 척수더부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위등세모근의 힘이 약해져 어깨의 위로돌림(상방회전)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어깨뼈의 위로돌림을 검사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어깨 위로돌림(어깨 올림과 팔의 모양이 다르다, 위로 올림을 하기 위해선 팔을 약간 벌리면서 어깨를 위로 올려야 한다)을 할 때, 귀에서 어깨까지 손가락이 몇 개 들어가나 간단하게 체크하는 방법이다. 귓불에서 어깨까지 손가락 4개가 들어가면 위로돌림이 대략 20도, 2개가 들어가면 대략 50도가 일어난다고 평가된다. 위등세모근의 기능이나 힘이 정상이라면 약 50도의 위로돌림이 발생해야 한다. 척수부신경을 스트레칭하거나 목신경 2~4번의 눌림을 풀어주면 어깨 위로 돌림의 각도가 커지는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3. 척수더부신경 스트레칭

 척수더부신경 스트레칭 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스트레칭하려는 쪽의 반대손으로 귀 아래 목뼈의 가로돌기(정확히는 목뼈 2~4번)를 고정하고, 목을 옆으로 기울이고, 스트레칭하려는 쪽의 손바닥을 엉덩이를 쓸어내리면서 뻗는다. 예를 들면, 오른쪽 척수더부신경을 스트레칭하려면 목을 왼쪽으로 기울이고, 왼손으로 오른쪽 귀아래의 목뼈를 고정한다. 그 후 오른손으로 엉덩이 뒤쪽을 쓸어내리는 동작을 한다. 이때 왼손으로 목이 안 움직이게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척수더부신경이 지나가는 길을 이완하여, 척수더부신경이 잘 움직일 수 있게 해줘야 한다. 먼저, 척수더부신경은 두힘살근의 뒤힘살(악이복근 후복, digastric posterior belly)을 지나간 후, 목빗근(흉쇄유돌근)을 지나간다. 목빗근도 등세모근처럼 근육이 척수더부신경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척수더부신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척수더부신경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두힘살근과 목빗근을 이완시켜 준다.

 

 물론, 이것만으로 위등세모근의 통증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지만, 척수부신경이 위등세모근에 영향을 주는 한 가지 요인이다. 신경의 문제가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원인이 된다면, 이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먼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