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안아프게 2024. 1. 23. 06:36
728x90

 먼저, 가시위근이란 말 뜻을 알아보자. 가시위근이 있는 어깨뼈에서 옆으로 길게 튀어나온 뼈를 가시라고 하고, 한자로 극(棘, 가시 극)이라고 한다. 이 가시 위쪽에 있다고 해서 가시위근, 극상( 棘上)근 이라고 한다. 의학용어도 같은 의미이다. 해부학 용어는 이렇게 단순하게 이름이 지어졌다. 이름의 의미를 알면 위치가 어디인지 예측할 수 있다. 

<가시위근>

1. 가시위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가시위근은 어깨뼈의 가시위오목(견갑골의 극상와, suprascapular fossa)에서 시작해, 위팔뼈의 큰 결절(상완골의 대결절, greater tubercle)에 붙는다. 특이한 것은 부리봉우리활(오구견봉 궁, coracoacromial arch)을 통과한 다는 것이다. 이런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찝힘(impingement) 손상을 잘 입고, 이로 인해 파열도 잘 되는 구조이다. 5번 목신경에서 시작한 어깨위신경(견갑상신경, suprascapul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가시위근은 돌림근띠(회전근개, rotator cuff) 중 하나로써, 어깨관절 안정화에 필수적인 근육이다. 위등세모근(상승모근), 중간어깨세모근(중부 삼각근)과 함께 어깨 벌림(외전) 기능을 한다. 가시위근은 어깨 벌림 30도 정도까지 초기 과정에 주로 작용하게 된다. 그렇다고 외전 30도 이상부터 작용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근육들이 더 우세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깨를 굽힘(굴곡, 앞으로 들어 올림) 할 때 보조근으로 작용한다.

2. 통증 양상

 중간어깨세모근(중부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방사된다. 어깨세모근 아래 점액낭염과 통증이 유사하고, 팔을 벌림, 굴곡, 폄 할 때 뜨끔하는 통증이 생긴다. 벌림 시에 딸깍하는 소리(clicking sound)가 발생한다. 

 둥근어깨체형(round shoulder)에서 부리봉우리인대(오구견봉인대, coracoacromial ligament)와 봉우리빗장관절(견쇄관절, acroclavicular joint)에 의해 가시위근은 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이 발생하여 어깨관절 앞쪽 부위에 통증 발생할 수 있다.

 가시위근의 만성적 단축이나 손상, 둥근어깨체형에 의해 가시위근을 지나는 어깨위신경(견갑상신경, suprascapular nerve)이 눌리게 되어,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에 통증이나 근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

3. 검사법

 가시위근이 문제 있을 때, 검사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아래 이학적 검사법의 단점은 아주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양성인 사람을 양성으로 판단하는 민감도(sensitivity)와 음성인 사람을 음성으로 판단하는 특이도(specificity)가 연구 결과마다 조금씩 다르다. 아래 검사법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다른 검사(영상진단 등)를 해보기 바란다. 

 (1) 통증활(painful arc) 

 통증활은 팔을 벌릴 때, 60~120도 각도에서 가시위근힘줄이 눌리게 되어 통증이 발생하면 가시위근에 이상이 있나 알아보는 간단한 검사법이다. 이것은 현상일 뿐 가시위근에 왜 이상이 생기는지 원인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어깨 벌림을 하는 동안 오목위팔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과 어깨뼈의 위쪽돌림이 2:1의 비율로 움직이는 것을 위팔어깨리듬(견갑상완리듬, scapulohumeral rhythm)이라 한다. 이 리듬이 깨지면 통증활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활이 나타나면 이 리듬을 제일 먼저 체크해 본다. 봉우리아래윤활주머니염(견봉하점액낭염, subacromial bursitis), 돌림근띠의 힘줄주위염(회전근개 힘줄염), 충돌증후군도 위팔어깨리듬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발생할 확률이 크다.

 다시 말하면, 통증활이 나타나는 것은 가시위근의 문제가 아니라 어깨상완리듬이 깨진 것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2) Empty can test(Jobe test, 깡통 비우기 검사)

 팔을 90도 굽힘 하고, 엄지손가락이 아래로 가도록 안쪽돌림 한다. 그 후 30도 정도 벌려주고, 대상자가 팔을 위로 올리는 동안 검사자는 팔에 저항을 준다. 이때 통증이 발생하면 가시위근 힘줄이나 근육의 파열, 어깨위신경의 신경병변을 의심할 수 있다.

4. 관리방법

 관리방법이야 무척 많지만, 개인적으로 임상에서 활용하면서 효과가 좋았던 방법을 소개한다. 위의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칠해놓은 곳이 관리 포인트이다. 왼쪽의 포인트는 어깨올림근과 가시위근 근막이 만나는 어깨위각 부분이고, 오른쪽 포인트는 가시위근의 건 부분이다. 개인적인 임상례를 들자면, 환자 말로는 진단상 가시위근이 1/2 파열되었는데, 이 포인트로 관리해 주면서 완치되어 수술을 안 했던 기억이 있다. 이 포인트 관리로 통증을 줄이고, 움직임을 회복하고, 이후 근력운동도 했다.

5. 마무리

 어깨 질환, 특히 가시위근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일 먼저 위팔어깨리듬을 평가하고 이상이 있다면 이것을 정상으로 회복시켜줘야 한다. 예컨대,  어깨상완리듬을 깨트리는 것 중 한 가지 이유가 그림에 나와 있는 어깨올림근이다. 어깨올림근이 손상되었거나 단축이 되었다면 어깨뼈 위쪽돌림(scapular upward rotation)이 잘 발생하지 않아, 가시위근이 손상을 당할 확률이 크다.  물론 둥근 어깨 같은 체형의 문제도 위팔어깨리듬을 변화시키는 한 가지 요인이 되니 체형의 문제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