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 muscle)

안아프게 2024. 8. 19. 09:59
728x90

  엉덩허리근은 큰허리근(대요근, Psoas Major)과 엉덩근(장골근, Iliacus)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두 근육은 이름은 다르지만, 기능이 유사하고 결합된 형태로 보여 하나의 근육처럼 취급한다. 큰허리근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작은허리근(소요근, Psoas Minor)은 엉덩허리근에 포함되지 않으며, 일부 사람에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글에서는 생략한다.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작은돌기에 부착된 엉덩허리근>

(1) 큰허리근 (Psoas Major)

  • 이는곳: 열두 번째 등뼈(T12)에서 다섯 번째 허리뼈(L5)까지의 몸통 앞가쪽면, 추간섬유연골(intervertebral fibrocartilages, T12–L5), 허리뼈의 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 전면, 그리고 요추체 협부를 가로지르는 힘줄 고리(tendinous arches)
  • 닿는곳: 넙다리뼈의 작은돌기 (대퇴골의 소전자, lesser trochanter of femur)
  • 기능: 엉덩관절 굽힘, 엉덩관절 가쪽돌림, 골반의 앞 기울임, 고정된 다리에 대한 허리 굽힘

(2) 엉덩근 (Iliacus)

  • 이는곳: 엉덩뼈오목(장골와, iliac fossa) 안쪽면의 위쪽 2/3
  • 닿는곳: 넙다리뼈의 작은돌기 (대퇴골의 소전자, lesser trochanter of femur)
  • 기능: 엉덩관절 굽힘, 엉덩관절 가쪽돌림, 골반의 앞 기울임

  두 근육 모두 대퇴신경(Femor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엉덩허리근은 엉덩관절 굽힘근으로 알려져 있으며, 몸통이 고정된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는 다리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많고, 이때 엉덩허리근이 수축하면 허리를 굽히거나 골반을 앞으로 기울이는 동작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엉덩허리근의 단축은 골반의 앞 기울임(전방경사) 및 허리 앞굽음(요추 전만, lumbar lordosis)을 유발한다.

 

  이 근육은 T12~L5에 걸쳐 위치하는데, 위쪽 섬유는 허리를 펴는 작용을 하고, 아래쪽 섬유는 허리를 굽히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자세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 과도한 전만 상태에서는 허리를 펴고, 누운 자세에서 일어날 때는 허리를 굽히며, 중립 자세에서는 몸통 안정화 역할을 한다.

 

  다만 임상에서는 이 근육이 허리를 안정화하는 역할보다는 추간판 압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김유신(2012)의 연구에서는 장요근 근막이완술이 통증 감소와 허리 굽힘의 증가에 효과가 있었고, 유창현(2022)의 연구에 따르면 엉덩허리근의 단축은 허리의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한동욱(2022)의 논문에서는 엉덩허리근의 스트레칭이 가로막(횡격막) 기능과 폐기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논문들을 바탕으로, 긴장된 엉덩허리근이 오히려 허리 안정화에 기여해야 할 다른 근육(횡격막, 다열근, 복부 근육 등)의 기능을 저해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엉덩허리근의 이완은 허리 통증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정상 발달 과정에서도 이 근육의 중요성이 보인다. 생후 3개월 정도의 아기는 다리를 들어 입으로 가져가는 동작을 통해 엉덩허리근을 사용하며, 이는 뒤집기와 배밀이 준비 단계로 이어진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엉덩허리근에 문제가 생기면 다음과 같은 통증 및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같은 쪽 척추를 따라 엉치엉덩관절 부근의 심부 방사통
  • 음낭, 서혜부, 넙적다리 앞/안쪽 부위 통증
  • 양쪽 근육 문제 시 허리의 가로 방향 통증 및 가로돌기 부위 피부 변색
  • 오른쪽 근육의 압통 시 아랫배와 허리 통증으로 충수염으로 오해될 수 있음
  • 힘줄 증후군: 작은돌기의 후방 변위로 인해 고관절 움직임 시 통증과 마찰음 발생
  • 양측 길이 불균형은 척추 측만증 유발
  • 엉덩근은 무릎이 펴졌을 때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도 기여함
  • 윗몸일으키기 시 엉덩허리근이 약하면 과신전 발생 → 허리 통증 유발
  • 대퇴직근의 단축은 엉덩허리근의 긴장을 지속시켜 압통점 유발

3. 개인적인 임상 경험

  • 허리 통증 환자의 'Thomas test'에서 엉덩허리근과 넙다리곧은근 모두 짧아져 있음
  • 척추 고정술 환자는 엉덩허리근 이완 후 통증 경감
  • 척추 안정화 운동 전에 엉덩허리근 이완 시 운동 효과 향상
  • 문제 있는 분절을 촉진해 이완할 경우, 더 효과적임
  • 엉덩근 이완 후 복압 감소 → 큰허리근 이완이 쉬워짐
  • 고관절 석회환자의 작은돌기 부위 관리로 통증 및 관절가동 범위 회복

4. 마무리

  엉덩허리근에 대해 다루기엔 한 글로는 부족하다. 이 근육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질환, 운동법, 움직임 분석이 가능하므로, 이후 하나씩 추가로 다루어볼 예정이다.

 

  요약하자면, 허리 통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엉덩허리근을 관리해야 한다. 이완이든 강화든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중요한 항목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