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허리네모근(요방형근, quadratus lumborum)

안아프게 2024. 8. 23. 10:17
728x90

허리네모근(요방형근, quadratus lumborum)은 보통 허리 통증과 관련해 자주 언급되는 근육이다. 뇌졸중이나 질환으로 인한 한쪽마비(편마비) 환자의 회전 보행(circumduction gait)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허리네모근, 몸통 옆으로 굽힘>

 

  • 이는곳: 엉덩뼈능선
  • 닿는곳: 첫 번째에서 네 번째 허리뼈의 가로돌기, 열두 번째 갈비뼈
  • 작용:
    • 양쪽 수축 시: 허리를 펴는 작용을 한다
    • 한쪽 수축 시: 같은 쪽으로 가쪽굽힘을 하고, 골반을 들어올린다

   허리네모근은 척추세움근과는 달리 뒤배벽근육(posterior abdominal wall muscle)으로 분류된다. 근막경선해부학(anatomy trains)에서는 이 근육을 표면후방선(superficial posterior line)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허리네모근은 3개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바깥쪽 섬유는 거의 수직으로 주행하며, 엉덩뼈능선에 가까울수록 넓게 퍼진다. 중간층 섬유는 허리뼈 가로돌기에서 엉덩뼈능선으로 비스듬하게 주행하며, 가장 깊은 섬유는 열두 번째 갈비뼈에서 허리뼈 가로돌기를 향해 주행한다. 이처럼 비스듬히 주행하는 섬유들은 허리굽이(lumbar curvature)를 분절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몸통을 굽히면 허리굽이 각도가 줄어들고, 이때 두 방향 섬유 모두 이완성 수축을 한다. 반대로 몸통을 펴면 각도가 커지며 단축성 수축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근육이 단축된 상태에서는 허리굽이가 줄어들며, 허리네모근은 이완성 수축을 유도한다. 따라서 허리네모근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배 근육도 함께 관리해야 효과가 있다.

 

  이 근육은 들숨 시 열두 번째 갈비뼈를 아래로 당겨 가슴우리(rib cage)의 확장을 돕는다. 이는 가로막이 수축할 때 보조 역할을 하기 때문에, 허리네모근은 호흡 보조근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1) 통증 부위

  통증은 엉덩뼈능선의 바깥과 앞쪽, 아랫배, 엉치엉덩관절(천장관절), 서혜부, 넙다리 앞쪽(대퇴부 전면), 음낭 부위 등에서 나타난다. 넙다리뼈의 큰돌기, 엉덩이 아래, 항문 부위, 궁둥뼈결절에서도 방사통이 발생한다. 경우에 따라 전상장골극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통증이 요추 디스크 증상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2) 증상

  통증은 깊고 쑤시는 양상을 띠며, 일반적인 근육통과는 달리 전반적인 허리 통증으로 나타난다. 엉치엉덩관절, 넙다리뼈 대결절 부위에 압통이 나타나 만지면 민감하게 반응하기도 한다. 반대로 엉덩이 근육 문제로 인해 허리네모근에 통증이 생기기도 한다.

 

  한쪽 허리네모근이 단축되면 기능적 측만증이 생기고, 이에 따라 목, 어깨, 등의 2차 통증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처럼 복압을 줄 때 방사통이 생기기도 하며, 돌아눕기, 일어나기, 앉기 등 기본적인 동작에서 통증이 유발된다.

한쪽이 단축성 수축을 하면 척추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축된 쪽의 허리뼈 가시돌기가 회전하게 된다. 반대측은 이완되면서 엉덩뼈가 내려가며, 다리가 짧아 보이기도 한다.

 

  허리네모근의 오래된 긴장은 엉덩이의 묵직한 느낌, 종아리의 경련, 하지의 작열감(burning sensation)으로 나타난다. 만성적인 경우에는 자세 교정과 엉덩이 근육의 재교육이 필요하다.

3. 관리 방법

간단하게 실천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방법을 소개한다.

<허리네모근 스트레칭 위, 뒤 모습>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엉덩이 아래에 베개를 받친다. 윗다리를 앞뒤로 움직여 가장 자극이 크게 느껴지는 위치를 찾고, 그 상태로 유지한다. 당기는 느낌이 사라지면 다시 다리 위치를 조절하여 반복한다. 단, 너무 편해 잠이 들 경우 과신장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