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톱니근(전거근)에 문제가 되면, 익상견갑(날개어깨뼈, winging scapular)이 발생하게 됩니다. 익상견갑이란 팔을 올리고 내릴 때 어깨뼈의 안쪽 모서리가 뜨는 것을 말한다. 다른 말로 익상근이라고도 합니다. 익상견갑으로 인해 어깨뼈 주위 등과 어깨 통증 일명 고황통 발생, 근육피로, 어깨 움직일 시 소리 남, 관절 불안정과 미용적 결함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익상견갑은 앞톱니근의 문제와 앞톱니근을 지배하는 신경의 문제만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 익상견갑이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1. 앞톱니근 약화
앞톱니근의 근력약화로 발생되는 경우 어깨관절을 굽힘(전방 굴곡) 시켰을 때에 어깨뼈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뒤 위쪽(후상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한 위등세모근이 과하게 작용하면 앞톱니근과 아래등세모근이 제대로 작동을 안 해, 어깨굽힘(굴곡, shoulder flexion) 할 때, 익상견갑이 발생한다. 위등세모근이 과하게 작용해서 앞톱니근의 작동이 제대로 안 되는 것인지, 앞톱니근의 약화로 인해 위등세모근이 과하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어떤 것이 먼저 발생했는지는 알 수 없다. 마치 알이 먼저인지, 닭이 먼저인지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확실한 것은 앞톱니근의 작용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위등세모근의 과활성화로 어깨가 아프다는 것이다.
2. 등세모근약화
등세모근약화시에는 앞톱니근과 다르게 어깨뼈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익상견갑(latera winged)이 나타난다. 등세모근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중간등세모근의 약화가 익상견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된다.
3. 마름근약화
마름근(능형근, rhomboids) 약화시 익상견갑의 모양은 어깨뼈가 쳐지고(depression), 어깨뼈 아래각(견갑골 하각, inferior angle)이 바깥돌림되는 현상이 동시에 나타난다.
4. 둥근어깨(round shoulder)
둥근어깨의 원인은 등의 뒤굽음증(thoracic kyphosis)과 가슴근육의 단축이 주된 원인이다. 뒤굽음증의 원인은 아래 그림을 눌러 보기 바란다.
둥근어깨로 인해, 마름근과 등세모근이 늘어나면서 약화가 되고, 앞톱니근이 약화되어 팔을 앞으로 내미는 동작을 할 때, 익상견갑이 발생하게 된다.
5. 어깨관절 굳음(구축)
어깨관절 굳음의 원인은 어깨관절의 수술, 유착성관절낭염(오십견, adhesive capsulitis) 등이 있다. 어깨관절이 굳으면 팔을 움직일 때, 팔의 부족한 가동범위를 어깨뼈의 움직임에서 보상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어깨관절이 굳으면 익상견갑이 나타난다. 이럴 때는 어깨관절의 가동범위를 먼저 확보해야 한다.
6. 뒤어깨세모근(후방삼각근, posterior deltoid) 단축
뒤어깨세모근이 단축되면, 팔짱을 끼는 동작같이 팔을 모음 할 때, 짧아진 뒤어깨세모근에 의해서 어깨뼈가 끌려오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익상견갑이 나타난다. 뒤어깨세모근 단축은 어깨관절 굳음과 비슷한 움직임이 발생한다.
7. 척추체형
익상견갑은 근육이나 어깨관절의 문제뿐만 아니라 척추체형에 따라서도 발생한다. 등의 뒤굽음증, 척추 측만증에 의한 갈비뼈의 돌출, 편평한 등뼈(flat back) 등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이 중 편평한 등뼈는 할머니들이 걷는 것을 상상해 보자. 허리 아픈 할머니들은 팔이 몸통 옆이 아니라 뒤쪽에 위치하고 걷는다. 그러면서 편평등이 되고, 어깨뼈의 익상견갑이 나타나는 형태가 된다.
8. 신경손상
(1) 긴가슴신경(장흉신경, long thoracic nerve)
앞톱니근을 지배하는 신경이다. 목 신경 5,6,7번의 가지가 합쳐져서 만들어지고, 중간목갈비근(중사각근)을 지난다. 만약 중간목갈비근의 긴장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목 신경 5, 6번이 손상을 입게 된다. 이로 인해 중간목갈비근의 중부섬유가 약해지게 되어 어깨뼈의 안쪽면과 아래각이 들리게 된다.
(2) 척수더부신경(척수부신경, spinal accessory nerve)
등세모근을 지배하는 신경이다.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에 의해 손상을 입는다. 특히 후방 추돌 교통사고에 의한 채찍질 손상(편타성 손상, whiplash injury)에 의해 목빗근은 손상을 잘 입는다. 단, 교통사고 발생시 목빗근뿐만 아니라 여러 근육이 손상을 입는데, 목빗근이 손상을 입었을 때를 가정한다. 척수더부신경의 손상은 등세모근의 근력을 약화시켜 어깨뼈가 아래로 처지며, 어깨 봉우리(견봉, acromion)가 바깥쪽으로 빠지고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3) 등쪽어깨신경(견갑배신경, dorsal scapular nerve)
마름근을 지배하는 신경이다. 목 신경 5번에서 시작하여,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를 지난다. 목갈비근의 긴장에 의해서도 마름근 손상으로 인한 익상견갑이 나타날 수 있다.
위의 신경들은 모두 목에서 시작하거나 목 부위를 지나게 된다. 어떤 이유에서 목의 손상이 발생하면, 익상견갑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목갈비근은 익상견갑을 관리하는데 꼭 살펴봐야 할 근육이다.
이처럼 익상견갑이 나타나는 원인은 다양하다. 단순히 앞톱니근의 문제가 아니라 여러가지 원인으로 나타나고, 당연히 원인에 따른 해결방법도 다양해져야 한다.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반가시근(두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 (1) | 2024.01.21 |
---|---|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 (0) | 2024.01.20 |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1) | 2024.01.14 |
목 통증 해결 운동 법 (1) | 2024.01.10 |
목갈비근(사각근)의 통증 2 (1)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