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침근(회외근, supinator)은 그 이름처럼 아래팔을 뒤침, 즉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순수하게 뒤침 동작만을 담당하며, 가쪽위관절융기염(테니스엘보, tennis elbow)과 관련 있는 주요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에서는 뒤침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통증 부위와 증상, 그리고 관리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자.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위팔노근과 위팔두갈래근>
뒤침근(supinator)은 다음과 같은 부위에서 시작하고 닿는다.
- 이는곳(Origin): 위팔뼈 가쪽 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자뼈 뒤침근 능선(supinator crest of ulna), 요척관절의 가쪽인대(radial collateral ligament), 그리고 윤상인대(annular ligament)에 부착된다.
- 닿는곳(Insertion): 노뼈의 위 가쪽면(dorsal and lateral surfaces of the proximal radius)에 닿는다.
- 기능(Function): 아래팔을 뒤침(supination of the forearm)하는 역할을 한다.
뒤침근은 노신경(요골신경, radi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이 근육은 팔꿈치 각도나 뒤침의 속도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뒤침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강한 힘이 필요한 뒤침 상황(예: 단단히 잠긴 병뚜껑을 열 때)에는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과 함께 작용하여 보다 강한 뒤침력이 발휘된다. 위팔두갈래근은 팔꿈치가 구부러져 있을 때 특히 뒤침 작용에 효과적이다.
아래팔 뒤침 동작은 어깨가 고정되어 있을 때 발생한다. 반대로 아래팔이 고정된 상태에서 뒤침하려는 힘을 주면, 위팔이 바깥쪽으로 회전(외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아래팔이 엎침(회내)된 상태로 손등이 전방을 향한 체형이라면, 어깨의 바깥돌림 근육은 단축되고 안쪽돌림 근육은 늘어난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자세와 근육 기능 간의 상호작용을 유추하는 데 중요한 힌트를 제공한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뒤침근에 이상이 생기면 다음과 같은 부위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 팔꿈치의 가쪽융기(외측상과, lateral epicondyle) 주변 및 팔의 바깥쪽
- 합곡혈 부위(엄지와 검지 사이)
- 엄지의 통증 및 저림 증상
이러한 통증은 한 쪽 또는 양쪽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으며, 위팔노근(상완요골근, brachioradialis)의 통증 부위와 유사하다.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뒤침근의 문제로 인해 손목과 손가락의 폄근(extensors) 및 긴엄지벌림근(장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longus)이 약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손의 악력(grip strength)이 떨어지고, 휴식 중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손목과 아래팔 부위에 감각 이상이 동반될 수 있다. 빨래를 짜는 동작처럼 손목을 돌리는 활동에서 통증이 유발된다면 뒤침근의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다.
3. 관리 방법
뒤침근은 팔꿈치 인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팔꿈치의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활동(테니스, 골프, 망치질 등)을 반복하면 인대가 자극되어 뒤침근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는 척추의 안정성이 떨어졌을 때 주변 근육에 통증이 발생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뒤침근의 직접적인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뿐만 아니라, 팔꿈치 안정화 근육인 위팔노근(brachioradialis)을 강화하여 팔꿈치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어깨의 정렬도 매우 중요하다. 어깨의 정렬이 무너지면 어깨, 팔, 손목으로 이어지는 근육의 길이-장력 관계(muscle length-tension relationship)가 비정상화되어 힘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뒤침근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는 어깨의 안정성이 떨어진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어깨의 정렬, 안정성, 그리고 움직임 전반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통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가락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 (1) | 2024.05.26 |
---|---|
엎침근(회내근, pronator) (0) | 2024.05.24 |
위팔노근(상완요골근, brachioradialis) (0) | 2024.05.09 |
위팔근(상완근, brachialis) (0) | 2024.05.02 |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0)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