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손가락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

안아프게 2024. 5. 26. 15:53
728x90

손가락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은 둘째 손가락부터 다섯째 손가락까지를 펴는 역할을 한다. 손가락을 폈을 때 손등에서 물갈퀴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이 근육의 힘줄이다. 손가락폄근은 손가락만 펴는 것이 아니라 손목이 노쪽(요골쪽)이나 자쪽(척골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으며, 손목을 펴는 데에도 기여한다.

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손가락폄근>

 

이는곳: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의 공통폄근힘줄, 깊은아래팔근막 (상완골의 외측상과 근간중격, 전완근막)

           (lateral epicondyle of the humerus, by the common tendon)
닿는곳: 둘째에서 다섯째 손가락의 등쪽확장막 (2~5지의 제2지골 기저부와 원위지골의 배측면)

            (dorsal digital expansion of digits 2-5)
작용: 둘째~다섯째 손가락의 폄

 

 폄근지지띠(신근지대, extensor retinaculum) 아래를 지나며, 벌레근(충양근, lumbrical)과 뼈사이근(골간근, interosseous)의 힘줄과 연결된다. 폄근지지띠는 손목폄근이 작동할 때 도르래처럼 작용하여 효율적인 움직임을 돕고, 손목 보호대처럼 손목의 안정성을 높인다.

 

 손가락폄근은 손허리손가락관절(중수지관절, metacarpophalangeal joint), 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근위지간관절,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원위지간관절, distal interphalangeal joint)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특히 손가락폄근이 손목폄 동작에서 우세하게 작용할 경우, 손등에 힘줄이 도드라져 보인다. 하지만 이 근육이 지나치게 작용하면 손가락 굽힘이나 내재근을 활용한 정밀 동작, 예를 들어 작은 물건을 집는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

2. 통증 부위와 증상

 손가락의 몸쪽 및 먼쪽 손가락뼈사이관절(PIP와 DIP 관절)에 통증이 집중되며, 특히 몸쪽관절의 가쪽을 눌렀을 때 통증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와 함께 아래팔의 손등 부위나 손등 전체에 방사통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손가락 끝까지 통증이 이어지지는 않는다.

 

 손가락이 뻣뻣하게 느껴져 굽힘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절염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관절염과 달리 시간이 지나면 굽힘 제한이 점차 완화된다. 증상은 방아쇠수지(trigger finger)와 유사하게 느껴질 수 있다.

 

 손목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손목폄근이 폄근지지띠를 자극하면서 손등 쪽 손목에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가쪽위관절융기(상완골 외측상과)에 있는 공통폄근힘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가쪽위관절융기염(테니스엘보우, tennis elbow)이 발생할 수 있다.

 

 손가락폄근은 강한 악력을 제공하는 근육이므로, 통증이나 염증이 생기면 손아귀 힘이 약해진다. 이로 인해 물건을 집거나 손을 쥐는 동작을 더 강하게 하려고 하고, 그 결과 통증이 심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뼈사이근에 위성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이 생기면서 손가락 옆쪽으로 통증이 퍼질 수 있다. 걸레를 짜거나 병마개를 여는 등의 동작에서 뒤침근과 손가락폄근이 협력하게 되면 팔꿈치 통증이 더욱 악화된다.

3. 관리법

 손가락폄근의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근육에 대한 스트레칭, 마사지, 강화 운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근육만 관리해서는 부족하다. 목갈비근(사각근), 위가시근(극상근),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 등도 위성 통증유발점에 관여하므로 함께 관리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손가락폄근과 연결된 뼈사이근과 벌레근 역시 함께 관리해야 한다.

손목폄 동작을 할 때 자쪽이나 노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립 자세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육통의 대부분은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일상 중 틈틈이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를 통해 증상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