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2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 muscle)

엉덩허리근은 큰허리근(대요근, Psoas Major)과 엉덩근(장골근, Iliacus)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두 근육은 이름은 다르지만, 기능이 유사하고 결합된 형태로 보여 하나의 근육처럼 취급한다. 큰허리근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작은허리근(소요근, Psoas Minor)은 엉덩허리근에 포함되지 않으며, 일부 사람에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글에서는 생략한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1) 큰허리근 (Psoas Major)이는곳: 열두 번째 등뼈(T12)에서 다섯 번째 허리뼈(L5)까지의 몸통 앞가쪽면, 추간섬유연골(intervertebral fibrocartilages, T12–L5), 허리뼈의 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 전면, 그리고 요추체 협부를 가로지르는 힘줄 고리(tend..

통증 2024.08.19

뼈사이근(골간근, interossei), 벌레근(충양근, lumbricals)

뼈사이근과 벌레근은 손바닥에 위치한 대표적인 내재근이다. 뼈사이근은 바닥쪽(장측, palmar)과 등쪽(배측, dorsal)에 존재하며, 손허리손가락관절(MCP joint)을 굽히고 나머지 손가락관절을 펴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너클 부위를 굽히고 손가락을 펴는 ㄱ자 모양의 움직임이 가능해진다.1. 바닥쪽뼈사이근 (palmar interosseous)이는곳:첫째 뼈사이근: 첫째 손허리뼈 바닥, 손바닥쪽둘째 뼈사이근: 둘째 손허리뼈 전체, 손바닥쪽셋째 뼈사이근: 넷째 손허리뼈 전체, 노쪽넷째 뼈사이근: 다섯째 손허리뼈 전체, 노쪽닿는곳:해당 손가락의 신전건막첫째 뼈사이근: 첫째 손가락의 손바닥쪽둘째 뼈사이근: 둘째 손가락의 손바닥쪽셋째 뼈사이근: 넷째 손가락의 노쪽넷째 뼈사이근: 다섯째 손가락의 노쪽작..

통증 2024.07.18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새끼두덩근(소지구근, hyphothenar muscles)

손의 새끼손가락 관련 내재근육 해부학과 통증 관리 집게폄근(시지신근, extensor indicis)은 집게손가락(검지, 2nd finger)을 단독으로 펴는 기능을 가진 근육이다. ‘1번’을 펴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조절한다. 한편, 새끼두덩근(소지구근, hypothenar muscle)은 새끼손가락에 위치한 여러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굽힘, 벌림, 맞섬(대립), 폄 등 다양한 동작에 관여한다.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다른 손가락보다 더 다양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정교한 근육들이 발달해 있기 때문이다. 이제 각 근육의 해부학적 정보와 함께 통증유발점 및 효과적인 마사지법을 살펴보자.1. 집게폄근 (Extensor Indicis)이는곳: 자뼈 ..

통증 2024.07.04

엄지 근육들(pollicis muscles)

엄지손가락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엄지손가락은 정교한 손 동작의 핵심으로, 총 8개의 근육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근육은 엄지의 벌림, 모음, 굽힘, 폄, 맞섬 등의 움직임을 조절하며, 각각의 기능은 매우 섬세하고 상호 협조적이다.1. 긴엄지폄근 (장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Longus)이는곳: 자뼈 뒷면 (Posterior surface of ulna), 뼈사이막 (interosseous membrane)닿는곳: 엄지 끝마디뼈 바닥 (Base of distal phalanx of thumb)기능: 엄지의 폄 (extension of the thumb), 특히 끝마디의 폄긴엄지폄근은 엄지를 뒤로 젖히는 데 필수적인 근육으로, 깊은 위치에 존재하며 짧은엄..

통증 2024.06.24

손가락굽힘근(수지굴근, flexor digitorum)

손가락굽힘근은 손목관절 굽힘을 보조하며, 손가락을 굽히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 근육에는 얕은손가락굽힘근(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과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이 있다. 이들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을 굽히는 역할을 한다. 엄지손가락에 대한 내용은 별도로 다룰 예정이다. 위 그림은 얕은손가락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을 보여준다. 얕은손가락굽힘근을 걷어내야 깊은손가락굽힘근이 보인다.1. 얕은손가락굽힘근 (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이는곳: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의 공통굽힘근힘줄(상완골 내측상과), 갈고리돌기의 안쪽(구상돌기 내측), 노뼈의 빗선(요골조면)(humeral hea..

통증 2024.06.19

손목굽힘근(wrist flexor)

손목굽힘근(wrist flexor)은 여러 가지가 있다. 손가락을 굽히면서 손목도 굽히는 근육과 손목만 굽힐 수 있는 근육이 존재한다. 이번에는 손목만 굽힐 수 있는 근육에 대해 알아보자. 손목만 굽힐 수 있는 근육은 세 가지가 있다. 노쪽손목굽힘근(요측수근굴근, flexor carpi radialis), 긴손바닥근(장장근, palmaris longus), 자쪽손목굽힘근(척측수근굴근, flexor carpi ulnaris)이 표면에 위치하여 손목 굽힘 기능을 한다. 이제 이 세 가지 근육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1) 노쪽손목굽힘근 (요측수근굴근, flexor carpi radialis)이는곳: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의 공통굽힘근힘줄, 심부아래팔근막 (내측상과의 공통건, 근간중..

통증 2024.06.04

손가락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

손가락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은 둘째 손가락부터 다섯째 손가락까지를 펴는 역할을 한다. 손가락을 폈을 때 손등에서 물갈퀴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이 근육의 힘줄이다. 손가락폄근은 손가락만 펴는 것이 아니라 손목이 노쪽(요골쪽)이나 자쪽(척골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으며, 손목을 펴는 데에도 기여한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이는곳: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의 공통폄근힘줄, 깊은아래팔근막 (상완골의 외측상과 근간중격, 전완근막) (lateral epicondyle of the humerus, by the common tendon)닿는곳: 둘째에서 다섯째 손가락의 등쪽확장막 (2~5지의 제2지골 기저부와 원위지골의 배측면) (dorsal..

통증 2024.05.26

엎침근(회내근, pronator)

아래팔의 엎침근(pronator muscle)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원엎침근(pronator teres, 원형회내근)이고, 다른 하나는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방형회내근)이다. 이 두 근육은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의 뒤침(supination) 기능 및 뒤침근(supinator muscle)에 대해 반대 작용을 한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1) 원엎침근 (Pronator Teres)원엎침근은 다음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이는곳(origin):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 of humerus), 자뼈 부리돌기(coronoid process of ulna)의 안쪽면, 공통굽힘근힘줄(common flexor ten..

통증 2024.05.24

손목폄근(수근신근, extensor carpi )

손목폄근(수근신근, extensor carpi)은 노쪽손목폄근(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과 자쪽손목폄근(척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으로 나뉜다. 노쪽손목폄근은 위팔뼈에서 시작하여 노뼈(요골) 쪽으로 가며 손목을 펴는 기능을 한다. 이는 다시 긴노쪽손목폄근(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과 짧은노쪽손목폄근(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으로 나뉜다. 자쪽손목폄근은 위팔뼈에서 시작하여 자뼈(척골) 쪽으로 간 후, 새끼손가락 쪽 손허리뼈에 닿는다.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1) 긴노쪽손목폄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이는곳: 위팔뼈 ..

카테고리 없음 2024.05.21

뒤침근(회외근, supinator)

뒤침근(회외근, supinator)은 그 이름처럼 아래팔을 뒤침, 즉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순수하게 뒤침 동작만을 담당하며, 가쪽위관절융기염(테니스엘보, tennis elbow)과 관련 있는 주요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에서는 뒤침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통증 부위와 증상, 그리고 관리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자.1.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뒤침근(supinator)은 다음과 같은 부위에서 시작하고 닿는다.이는곳(Origin): 위팔뼈 가쪽 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자뼈 뒤침근 능선(supinator crest of ulna), 요척관절의 가쪽인대(radial collateral ligament), 그리고 윤상인대(..

통증 2024.05.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