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2

머리반가시근(두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

---머리반가시근(semispinalis capitis): 두통과 목 통증의 숨겨진 원인머리반가시근(두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은 목반가시근(semispinalis cervicis), 등반가시근(흉반극근, semispinalis thoracis)과 함께 반가시근(반극근, semispinalis)을 이룬다. 아래 그림은 머리반가시근 중 가쪽다발(lateral fascicle)을 나타낸 모습이다.---1. 머리반가시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움직임머리반가시근의 가쪽다발은 목뼈 3~6번의 가로돌기(횡돌기)에서 시작해 뒤통수뼈의 위목덜미선과 아래목덜미선(상하항선) 사이에 붙는다. 한쪽 수축 시: 목과 머리의 같은 쪽 가쪽굽힘(측굴)을 하고, 머리는 반대쪽으로 돌림(회전)한다. 그림을 보면 ..

통증 2024.01.21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

뒤통수밑근육: 머리 움직임과 자세 유지의 핵심 근육뒤통수밑근육은 머리 움직임의 초기 각도에 관여하는 중요한 근육이다. 이 근육들은 근육의 길이 변화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방추(muscle spindle)가 매우 풍부한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큰볼기근이 1g당 0.6개의 근방추를 가지는 반면, 뒤통수밑근육은 1g당 무려 36개의 근방추를 가지고 있어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풍부한 근방추 덕분에 뒤통수밑근육은 머리와 위목(상경추)의 정교한 움직임을 조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이 근육들은 눈의 움직임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눈을 감고 뒤통수밑근육을 촉진한 상태에서 눈동자를 움직여보면, 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 근육들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흥미롭게..

통증 2024.01.20

익상견갑(날개어깨뼈, winging scapular)

앞톱니근(전거근)에 문제가 되면, 익상견갑(날개어깨뼈, winging scapular)이 발생하게 된다. 익상견갑이란 팔을 올리고 내릴 때 어깨뼈의 안쪽 모서리가 뜨는 것을 말한다. 다른 말로 익상근이라고도 한다. 익상견갑으로 인해 어깨뼈 주위 등과 어깨 통증 일명 고황통이 발생하며, 근육 피로, 어깨 움직일 시 소리 남, 관절 불안정과 미용적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익상견갑은 앞톱니근의 문제와 앞톱니근을 지배하는 신경의 문제만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 익상견갑이 발생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1. 앞톱니근 약화 앞톱니근의 근력 약화로 발생하는 경우, 어깨관절을 굽힘(전방 굴곡) 시켰을 때 어깨뼈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뒤 위쪽(후상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한 위등세모근이 과하..

통증 2024.01.17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에 문제가 생기면 어깨뼈가 등에서 툭 튀어나와 보이는 익상견갑(Winging Scapula)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익상견갑이 나타나면 어깨와 일명 고황통이라 불리는 등 통증이 발생한다. 그런데 앞톱니근은 익상견갑만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다른 어깨 질환도 유발할 수 있다. 먼저 앞톱니근의 특징부터 자세히 알아보자.1. 앞톱니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움직임앞톱니근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은 해부학적 특징과 움직임을 가진다.앞톱니근 상부 (Upper Serratus Anterior) 이는곳 (Origin): 1~2번 갈비뼈 (Ribs 1-2) 닿는곳 (Insertion): 어깨뼈 위각 (Superior An..

통증 2024.01.14

목 통증 해결 운동 법

그동안의 글들에서 목 통증의 다양한 원인들을 알아보았다. 통증은 단순 근육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목을 움직이는 방식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1. 목 통증을 유발하는 움직임 패턴 목 통증은 주로 목과 어깨, 혹은 목과 갈비뼈를 연결하는 외재근(Extrinsic Muscles)이 목뼈와 목뼈만을 연결하는 내재근(Intrinsic Muscles)보다 우세하게 작용할 때 발생한다. 대표적인 외재근으로는 목갈비근(사각근, Scalene),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위등세모근(상승모근, Upper Trapezius),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이 있다. 이 근육들이 내재근보다 과도하게 작용하면 원치 않는 움직임이 발생하는데, 어떤 움직임이 나타나는지 ..

통증 2024.01.10

목갈비근(사각근)의 통증 2

근육의 압통점(trigger point)이 발생하면 연관통이 나타난다. 아래 그림은 목갈비근(Scalene)과 관련된 연관통이다. 빨간색으로 칠해진 곳은 통증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위이고, 점처럼 나타나는 부위는 목갈비근에 의한 통증이 약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실험적으로는 그림처럼 나타난다고 하지만, 임상을 하다 보면 책이나 논문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니었다. 책과 논문에 나온 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경험을 더해 관리나 치료 방향을 찾아가야 한다. 그럼 목갈비근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1. 앞목갈비근(Anterior Scalene) 앞목갈비근 통증이 어깨뼈 안쪽면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마름근(Rhomboids)의 통증 부위와 유사하다. 즉, 앞목갈비근이 고황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

통증 2024.01.07

목갈비근(사각근)

이번에는 목갈비근(Scalen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목갈비근의 해부학적 구조 그림에서 보이는 해부학적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자. 왼쪽 그림의 앞목갈비근(Anterior Scalene)과 중간목갈비근(Middle Scalene) 사이에는 중요한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간으로 동맥,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 그리고 림프가 지나간다. 만약 이 공간이 좁아지면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거북목이나 일자목과 같은 잘못된 자세는 두 근육 사이의 공간을 좁게 만들어 가슴문증후군 발생 확률을 높인다. 오른쪽 그림을 보면, 중간목갈비근과 뒤목갈비근(Posterior Scalene)이 서로 교차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치..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고황통 (등 통증 5)

고황통: 목 움직임과 관련된 등 통증 및 손 저림의 원인과 효과적인 관리법고황통은 등뼈 4번에서 약 6~7cm 떨어진 위치에 있는 고황혈 부위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지칭한다. 이는 등 통증의 대표적인 형태로, 해부학적으로는 큰마름근(Rhomboid Major)의 압통점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고황통 치료를 위해 큰마름근 마사지, 도수치료, 또는 등뼈 교정 등이 이루어지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재발하기 쉽다. 이 글에서는 고황통의 다양한 원인 중 목의 움직임과 관련된 고황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1. 고황통의 원인: 널판근(Splenius Muscle)과의 관계고황통의 여러 원인 중, 이번에는 목의 움직임과 깊이 관련된 원인에 집중한다. 특히 널판근(Splenius Muscle)이 고황..

통증 2024.01.03

등 통증 발생 원인 4

등 통증의 숨겨진 원인: 척추 안정성과 움직임의 중요성등 통증 발생 원인 중 이번에는 척추의 안정성(stability)과 움직임과 관련된 것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안정성은 다른 곳(특히 팔, 다리)이 움직일 때, 척추가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움직여야 될 곳만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굴삭기 작업을 하는데, 바퀴 부분이 계속 움직인다면 땅을 제대로 팔 수 있겠는가? 작업자는 불안을 느끼거나 심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이다. 안 움직여야 할 곳이 움직이면 아프다. 안정성과 비슷한 것(엄밀히 말하면 다르지만)이 관절중심화가 있다. 관절중심화와 관련되어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이 순간회전중심(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

통증 2024.01.01

등 통증 3

복근과 등 통증: 심층 분석등 통증은 현대인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많은 원인이 있지만,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바로 복근이다. 오늘은 복근이 등 통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복근은 크게 배바깥빗근(외복사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곧은근(복직근), 배가로근(복횡근)으로 구성된다.1. 핵심 코어 근육, 배가로근배가로근은 배속빗근과 함께 등허리근막(흉요근막)에 연결되어 있다. 이 등허리근막은 넓은등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허리 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허리에 문제가 생기면 어깨에도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어깨 문제가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등허리근막 때문이다.배가로근은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 허리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코어 근육이다. 역도 선수들이 ..

통증 2023.12.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