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2

고황통의 가장 큰 원인 큰 마름근과 작은 마름근

등 통증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 중 대표적인 근육이 바로 마름근(rhomboids)이다. 마름근의 통증 부위가 '고황(膏肓)'이라는 혈자리에 나타나서 마름근 통증을 고황통(膏肓痛)이라고도 부른다. 고황통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중 가장 핵심적인 마름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마름근은 작은 마름근(rhomboid minor)과 큰 마름근(rhomboid major)으로 나뉜다.1. 마름근: 해부학적 특징과 주요 기능마름근의 해부학적 위치는 위 그림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쉽다. 작은 마름근과 큰 마름근의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은 다음과 같다.마름근의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작은 마름근(Rhomboid Minor)이는곳: 7번째 목뼈(C7)와 1번째 ..

통증 2024.03.09

통증을 만드는 움직임

몸이 아프면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고 활력을 잃기 쉽다. 통증의 원인은 워낙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움직임 손상 증후군(Movement Impairment Syndrome)'**은 우리가 왜 움직일 때마다 아픈지, 그 근본적인 이유를 알려준다. 이 증후군이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을 깊이 있게 파헤쳐 보자. 제 스승님께 배운 지식과 실제 임상에서 경험하며 느낀 점들을 바탕으로, 통증 없는 건강한 움직임을 위한 통찰을 제공한다.통증을 악화시키는 여러 요인에 대한 이전 글도 참고하면 좋다: 근골격계 통증을 악화 시키는 요인 근골격계 통증을 악화 시키는 요인근골격계 통증(근막통증증후군 포함)을 악화시키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잘못된 자세, 반복적인 움직임, 심리적 스트레스, 호르몬 문제, 불균형적인 영양 공..

통증 2024.03.02

어깨가 아픈 이유, 신경 문제

---신경 문제로 인한 어깨 통증: 위등세모근과 척수더부신경의 관계그동안 어깨 통증의 다양한 원인에 대해 소개했다. 오늘은 특히 신경 문제로 인한 어깨 통증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척수 신경 중 운동을 담당하는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통증을 직접 느끼지 못하더라도 근육 기능에 이상이 생겨 이와 관련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근육인 위등세모근(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과 이 근육을 지배하는 척수더부신경(제11뇌신경, accessory nerve)에 대해서 알아보자.위등세모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을 눌러 확인해 보길 바란다.---위등세모근과 척수더부신경의 특별한 연결위등세모근은 척수더부신경의 지배를 받는다.척수더부신경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뇌..

통증 2024.02.26

어깨 인대와 통증

---어깨 통증과 움직임: 인대의 중요성어깨의 움직임과 통증은 근육뿐만 아니라 인대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근육에 이상이 없어도 인대에 문제가 있다면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고 움직임에 제한을 받게 된다. 그중 대표적인 질환이 유착성관절낭염(오십견, adhesive capsulitis)이다. 유착성관절낭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이 질환으로 인해 어깨 인대와 연결된 겨드랑주머니(axillary pouch)가 줄어들어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 지금부터 각 어깨 인대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1. 돌림근간격(rotator interval)돌림근간격은 인대의 특정 명칭은 아니다. 이곳은 어깨돌림띠를 이루는 근육들, 즉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가시아래근(극하..

통증 2024.02.20

부리위팔근(오훼완근, coracobrachilalis)

---어깨 통증과 유착성관절낭염: 부리위팔근의 중요성부리위팔근은 오훼완근 또는 오구완근으로도 불린다. 이 근육은 유착성관절낭염(오십견, adhesive capsulitis)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이 근육 하나만으로 유착성관절낭염이 완벽하게 관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어깨 건강 관리에 있어 부리위팔근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다. 그럼 지금부터 부리위팔근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1. 부리위팔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부리위팔근은 어깨뼈의 부리돌기(오훼돌기 혹은 오구돌기, coracoid process) 끝 부분에 시작하여, 위팔뼈 몸통의 안쪽면과 안쪽 경계 중간(상완골 중앙 내측면, medial border of middle hum..

통증 2024.02.05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어깨세모근(삼각근): 어깨의 강력한 보호막과 그 관리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은 어린 시절 로봇 만화에서 강철 팔을 상징하는 근육처럼, 어깨와 팔을 이어주며 강하고 둥그런 모양을 만든다. 이 근육은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운동선수나 팔 힘을 쓰는 직업군)에게서 특히 선명하게 발달한다. 다른 오목위팔관절(상완관절, glenohumeral joint) 근육에 비해 두껍고 면적이 넓어 충격 흡수에 용이하며, 어깨 관절을 보호하는 1차적인 근육이다. 근육이 두껍기 때문에 팔에 주사를 놓는 부위로도 사용된다. 어깨세모근은 넓은 면적 덕분에 7개의 섬유로 구성되지만, 일반적으로 앞(전부), 중간(중부), 뒤(후부)의 세 부위로 나뉜다.---1. 어깨세모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어깨세모근은 앞(전부,..

통증 2024.02.01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

---큰원근(teres major): 어깨 움직임의 숨은 조력자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은 작은원근(소원근)과 비슷하게 원형의 모양을 띠지만, 작은원근보다 크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1. 큰원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큰원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이는곳 (Origin): 어깨뼈의 아래각(하각, inferior angle) 및 가쪽 가장자리(외측연, lateral border) 아래쪽 닿는곳 (Insertion): 위팔뼈의 두갈래근고랑(상완골 소결절능, bicipital groove of humerus) 안쪽선 (넓은등근 부착 부위와 겹친다)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삼두박근 장두)에 의해 눌려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인..

통증 2024.01.30

작은원근(소원근, teres minor)

---작은원근(teres minor): 어깨 회전근개의 숨겨진 핵심 근육작은원근(소원근, teres minor)이라는 이름은 '소원(小園)', 즉 '작은 둥근 근육'이라는 뜻이다. 처음 배울 때는 소원을 들어주는 근육인가 오해할 수도 있었지. 하지만 실제 해부학적으로 보면 둥글다기보다는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다. 이처럼 이름과는 다른 생김새를 가진 작은원근의 특징에 대해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자.---1. 작은원근의 해부학적 부착점과 기능작은원근은 돌림근띠(회전근개, rotator cuff)를 구성하는 주요 근육 중 하나이다. 이 근육은 위팔뼈가 움직이는 동안 위팔뼈와 어깨뼈의 관절오목이 중심화(centralization)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작은원근은 어깨뼈의 가쪽 가장자..

통증 2024.01.28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

어깨 통증의 숨은 원인: 가시아래근(극하근)의 중요성가시아래근(infraspinatus)은 이름 그대로 어깨뼈 가시(scapular spine)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근육이다. 가시위근(supraspinatus)과 비슷하게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이름이 붙었지. 가시아래근 역시 어깨의 중요한 안정화 근육인 돌림근띠(회전근개, rotator cuff) 중 하나이다.---1. 가시아래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가시아래근은 어깨뼈 가시(견갑골 극)와 어깨뼈 가시아래오목(극하와, infraspinatus fossa) 안쪽 2/3 지점의 골막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큰결절(상완골 대결절, greater tubercle of humerus)에 붙는다. 이 근육은 뒤어깨세모근(후부삼각근)과 아래등세모근(하부승모근)에 덮..

통증 2024.01.25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가시위근(supraspinatus):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먼저, 가시위근(supraspinatus)이란 말뜻부터 알아보자. 가시위근이 있는 어깨뼈에서 옆으로 길게 튀어나온 뼈를 '가시'라고 하고, 한자로는 '극(棘, 가시 극)'이라고 부른다. 이 가시 위쪽에 있다고 해서 가시위근, 즉 극상근(棘上筋)이라고 이름 붙여졌지. 의학용어도 같은 의미다. 해부학 용어는 이렇게 단순하게 이름이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름의 의미를 알면 근육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1. 가시위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가시위근은 어깨뼈의 가시위오목(견갑골의 극상와, suprascapular fossa)에서 시작해서 위팔뼈의 큰 결절(상완골의 대결절, greater tubercle)에 붙는다. 특이한 점은 부리봉우리활(오구..

통증 2024.01.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