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9

목 통증의 원인 4

목 통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다. 벌써 4번째다. 이번엔 팔의 움직임에 따른 목 통증으로 인해 팔 저림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를 써 보겠다. 그중에서 어깨뼈의 수평 모음(수평 내전, horizontal adduction)과 위 팔뼈 안쪽돌림(내회전, internal rotation), 어깨 관절 구축(굳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목 통증과 저림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1. 어깨뼈 수평 모음 어깨뼈 수평 모음이 일어나는 동작은 팔짱을 낄 때, 반대쪽 등을 긁을 때와 같은 행위를 할 때 나타난다. 팔꿈치가 가슴뼈쪽으로 가면 수평 내전이라 생각하면 쉽다. 그럼 어떤 경우에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팔을 수평 내전하는 동작을 하면, 그림과 같이 어깨 세모근의 후면부(후부삼각근, posterior de..

통증 2023.12.19

목 통증, 어깨 통증 3

목 통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다. 그중 목 통증과 어깨 통증은 서로 연관성이 크다. 목(특히 목뼈)과 어깨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근육-어깨올림근, 등세모근, 작은 마름근-으로 인해 목의 움직임 혹은 어깨의 움직임은 목과 어깨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목과 어깨를 연결하는 직접적인 근육이 아니더라도 어깨의 움직임이나 어깨 체형으로 인해 목과 연결되는 근육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어깨의 정렬과 체형에 관한 내용은 아래 그림을 눌러보길 바란다. 이번에는 어깨 체형에 영향을 일으키는 근육 중 하나인 넓은등근(광배근, latissimus dorsi)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근육 하나하나 분석하는 것이 환원주이라도 비판할지도 모르겠지만, 기본적인 근육 특성을 알아야 정확한 운동이나 관리에 필 수 요소이다..

통증 2023.12.17

목과 어깨가 아픈 이유 2

목과 어깨가 아픈 이유 중 체형과 정렬에 대해서 알아보자. 체형이 통증의 모든 원인은 아니지만, 영향이 있는 것은 확실하다. 관리를 할 때도 도, 이상적인 체형에서 벗어난 체형을 이상적인 체형에 가깝도록 맞춰 놓으면 통증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적인 임상례를 들어보면, 팔이 저려서 통증의학과 가서 주사를 맞았는데, 호전이 없어서 MRI를 찍어보겠다던 사람이 있었다. 몇 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심한 것 같지 않았다. 선 자세에서 체형만 잡아줬더니, 저림 증상이 사라졌다. 주사를 맞아도 해결 안 되던 것이 자세를 바꿔줌으로 해결된 예이다. 1. 이상적인 체형 이상적인 체형은 앞과 뒤에서 봤을 때, 좌우가 대칭이고, 앞면에서는 코, 가슴뼈, 배꼽이 일직선으로 내려오는 모습니다. 어깨나 목이 아플 경..

통증 2023.12.14

목과 어깨가 아픈 이유 1

목과 어깨를 아픈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목뼈 자체의 문제, 근육(근막 포함)의 문제, 신경의 문제, 내장기의 문제, 심혈관계 문제, 심리적 문제 등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그 중에서 근육의 문제 중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해부학적 구조와 의미 어깨올림근은 목뼈(경추) 1~4번의 가로돌기(횡돌기) 뒤결절에 시작해서, 어깨뼈 위각(견갑골 상각, scapular superior angle) 및 안쪽 모서리 위쪽에 붙는다. 신경은 목신경 3번, 4번과 등쪽어깨신경(견갑배신경, dorsal scapular nerve, 5번 목신경에서 나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간혹 어깨올림근이 꼬였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옆에서 보면 꼬인 것이 없다. 각 섬유마다 자..

통증 2023.12.11

근골격계 통증을 악화 시키는 요인

근골격계 통증(근막통증증후군  포함)을 악화시키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잘못된 자세, 반복적인 움직임, 심리적 스트레스, 호르몬 문제, 불균형적인 영양 공급, 심혈관계, 호흡계, 직업, 취미, 인간공학적 요소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비특이성 근골격계 통증(특히, 근육과 근막의 문제를 야기하는 근막통증증후군)이 악화된다.  1. 움직임 손상 증후군(Movement Impairment Syndrome)  위의 열거된 요소에 의해 잘못된 움직임이 발생하고, 잘못된 움직임이 누적되어 만성 근골격계 통증의 근본 원인이 된다는 것을 움직임 손상 증후군이라 한다(처음 소개 될 때, 운동 손상 증후군이라 했는데, 운동보단 움직임이 개인적으로 더 맞는 것 같다.). 이..

통증 2023.12.08

근막통증증후군 관리하기

근막통증증후군(근육통도 근막통증증후군의 일부라 생각한다)을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마사지 · 근막이완법 같은 도수(수기)치료, 온열관리, 아로마, 전기치료, 테이핑, 운동치료, 심리치료 등이 있다. 1. 마사지 마사지는 근육 활동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근육의 긴장 완화, 젖산 제거에 도움을 주고, 근육의 피로를 빨리 회복하게 한다. 이렇게 되면, 근육과 근막에 연결된 근막에도 영향을 주어 근막과 근육의 긴장도를 낮추어 통증 감소에 효과적이다. 그런데, 마사지를 할 때, 힘을 어떻게 주어야 하는지가 의문이다. 문헌상으로는 강한 힘이 효과적인지, 약한 힘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다. 마사지를 받는 사람마다 반응도 다르고, 마사지를 하는 사람마다 힘이 다르니 ..

통증 2023.12.06

근막통증증후군

1. 근육 통증 원인 근육의 통증은 첫째,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인한 손상 또는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근육 짧아짐, 근육의 긴장, 신장으로 인한 근육의 손상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둘째, 말초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통증 중추신경(뇌와 척수)의 손상으로 인한 연관통, 감각이상 등의 통증이 나타난다. 그 중 첫 번째 원인으로 인한 근육 통증은 해부학적 구조상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의 문제와 구별해서 관리하기가 어렵다. 해부학적 구조는 아래 그림을 눌러보기 바란다. 2. 근막통증증후군 이러한 근육과 근막의 문제로 인해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에서 나타나는 통증을 보통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이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모든 근육의 통증을 근막통증증후군이라고..

통증 2023.12.04

근육과 근막의 특징

1. 근육과 근막의 구조  근육과 관련된 통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육과 근막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복잡한 해부학적 설명 없이 간단한 개념으로 살펴보자. 근육과 근막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패턴을 따른다. 근육은 여러 개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근섬유는 근막(fascia)이라는 결합 조직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근육과 근막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근육: 장조림을 먹을 때 한 줄씩 떨어지는 것을 떠올려 보자. 이는 근육이 여러 개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근막: 근육을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이를 쉽게 이해하려면 빨대 다발을 랩으로 감싼 형태를 생각하면 된다. 근막은 단순히 근육을 통째로 감싸는 것이 아니라, 각 근섬유를 개별적..

통증 2023.11.29

만성 통증

1. 통증의 정의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에서는 통증을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 손상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불쾌한 감각적, 정서적 경험"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통증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시간적 분류, 신경생리학적 분류, 원인에 의한 분류, 위치에 따른 분류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시간적 개념과 신경생리학적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2. 통증의 분류 (1) 시간적 개념  시간적 개념으로는 급성기 통증, 아급성 통증, 만성 통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급성 통증은 급성에서 만성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이기 때문에 아급성 통증의 특징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넘어가기로 하자.  급성기 통증의 특징은 질병이나 외상에 따른 조직 손상에..

통증 2023.11.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