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43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먼저, 가시위근이란 말 뜻을 알아보자. 가시위근이 있는 어깨뼈에서 옆으로 길게 튀어나온 뼈를 가시라고 하고, 한자로 극(棘, 가시 극)이라고 한다. 이 가시 위쪽에 있다고 해서 가시위근, 극상( 棘上)근 이라고 한다. 의학용어도 같은 의미이다. 해부학 용어는 이렇게 단순하게 이름이 지어졌다. 이름의 의미를 알면 위치가 어디인지 예측할 수 있다. 1. 가시위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가시위근은 어깨뼈의 가시위오목(견갑골의 극상와, suprascapular fossa)에서 시작해, 위팔뼈의 큰 결절(상완골의 대결절, greater tubercle)에 붙는다. 특이한 것은 부리봉우리활(오구견봉 궁, coracoacromial arch)을 통과한 다는 것이다. 이런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찝힘(impingeme..

통증 2024.01.23

머리반가시근(두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

머리반가시근(두반극근, semispninalis capitis)은 목반가시근(semispinalis cervicis), 등반가시근(흉반극근, semispinalis thoracis)와 함께 반가시근(반극근, semispnialis)을 이룬다. 아래 그림은 머리반가시근 중 가쪽다발(lateral fascicle)을 나타냈다. 1.머리반가시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움직임 가쪽다발은 목뼈 3~6번의 가로돌기(횡돌기)에서 시작해 뒤통수뼈의 위목덜미선과 아래목덜미선(상하항선) 사이에 붙는다. 한쪽 수축 시에는 목과 머리의 같은 쪽 가쪽굽힘을 하고, 머리를 반대쪽으로 돌림 한다.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머리가 고정되어 있다면, 반대로 목뼈를 같은 쪽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양쪽 ..

통증 2024.01.21

뒤통수밑근육(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

뒤통수밑근육은 머리 움직임 초기 각도의 근육들이다. 이 근육들은 근방추(muscle spindle)가 풍부하다. 큰볼기근이 1g당 0.6개의 근방추를 갖고 있지만, 뒤통수밑근육은 1g당 36개의 근방추를 갖고 있다. 풍부한 근방추로 인해 머리와 위목(상경추)의 정교한 움직임을 조절하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근육들은 눈의 움직임과 관련이 매우 깊다. 눈을 감고 이 근육들을 촉진하고, 눈동자를 움직여보면 눈동자의 움직임에따라 이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혈자리 중에 뒤통수밑근육에 위치한 천주혈과 풍지혈은 눈의 피로를 관리하는 혈자리이다.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이 이런 접점이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1. 근육의 해부학적 특징 이는곳 닿는곳 작용 큰뒤머리곧은근(대후두직근) C2 가시..

통증 2024.01.20

익상견갑(날개어깨뼈, winging scapular)

앞톱니근(전거근)에 문제가 되면, 익상견갑(날개어깨뼈, winging scapular)이 발생하게 됩니다. 익상견갑이란 팔을 올리고 내릴 때 어깨뼈의 안쪽 모서리가 뜨는 것을 말한다. 다른 말로 익상근이라고도 합니다. 익상견갑으로 인해 어깨뼈 주위 등과 어깨 통증 일명 고황통 발생, 근육피로, 어깨 움직일 시 소리 남, 관절 불안정과 미용적 결함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익상견갑은 앞톱니근의 문제와 앞톱니근을 지배하는 신경의 문제만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 익상견갑이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1. 앞톱니근 약화 앞톱니근의 근력약화로 발생되는 경우 어깨관절을 굽힘(전방 굴곡) 시켰을 때에 어깨뼈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뒤 위쪽(후상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한 위등세모근이 과하게 작용하면 앞톱니..

통증 2024.01.17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앞톱니근에 대해서 알아보자. 앞톱니근은 이상이 있을 시 어깨뼈가 등에서 툭 튀어나와 보이는 익상견갑(winging scapular)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익상견갑이 나타나면 어깨와 일명 고황통이라 불리는 등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앞톱니근은 익상견갑만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다른 어깨 질환도 발생시킨다. 먼저 앞톱니근의 특징부터 알아보자. 1. 앞톱니근의 해부학적 특징과 움직임 이는곳(기시, origin) 닿는곳(종지, insertion) 움직임 상부 1~2번 갈비뼈 어깨뼈 위각(견갑골 상각) 늑골과 평행하게 주행하며, 어깨뼈를 위로 올림(거상) 기능을 한다 중부 3~4번 갈비뼈 어깨뼈 안쪽 모서리(견갑골 내측연) 갈비뼈와 하방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면서 어깨뼈 벌림(외전)..

통증 2024.01.14

목 통증 해결 운동 법

그동안의 글들에서 목 통증의 원인들을 알아보았다. 통증을 발생하는 원인이 단순 근육의 문제일 수 있지만, 목의 움직이는 방법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1. 목 통증을 일으키는 움직임 목 통증은 목과 어깨 혹은 목과 갈비뼈를 연결하는 외재근(extrinsic muscle)이 목뼈와 목뼈만을 연결하는 내재근(intrinsic muscle) 보다 우세하게 작용하면 발생한다. 가장 대표적인 외재근은 목갈비근(사각근, scalene),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위등세모근(상승모근, upper trapezius), 목빗근(흉쇄유돌근, strenocleidomastoid)이 있다. 이 근육들이 내재근보다 우세하게 작용하면 원하지 않는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어떤 움직임이 발생하는지 ..

통증 2024.01.10

목갈비근(사각근)의 통증 2

근육의 압통점(tigger point)이 발생하면 연관통이 나타나는데, 아래 그림은 목갈비근과 관련된 연관통이다. 빨간색으로 칠해진 곳은 통증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위이고, 점처럼 나타나는 부위는 목갈비근에 의한 통증이 약하게 나타는 곳이다. 실험적으로 그림처럼 나타난다는데, 임상을 하다 보면 책이나 논문이 다 맞는 게 아니었다. 책과 논문에 나온 것을 바탕으로 자기의 경험을 더해 관리나 치료 방향을 찾아가야 한다. 그럼 목갈비근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 앞목갈비근 앞목갈비근 통증이 어깨뼈 안쪽면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마름근의 통증부위와 비슷하다. 앞목갈비근이 고황통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왜 앞목갈비근에 문제가 생기면 고황통이 생길까?? 목갈비근의 통증이 생기는 원인은 단독손상도 관련..

통증 2024.01.07

목갈비근(사각근)

이번에는 목갈비근(사각근, scalene)에 대해 알아보자. 1. 해부학적 구조 그림에 보이는 해부학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자. 왼쪽 그림의 앞목갈비근(전사각근, anterior scalane)과 중간목갈비근(중사각근, middle scalane) 사이에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간으로 동맥, 팔신경얼기(상완신경총, brachial plexus), 림프가 지나간다. 이 공간이 좁아지면 가슴문증후군(흉곽출구증후군, thoracic outlet syndrome)이 발생하게 된다. 거북목이나 일자목이라면 두 근육의 공간이 좁아져 가슴문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커지게 된다. 오른쪽 그림의 중간목갈비근과 뒤목갈비근(후사각근, posterior scalene)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면, 두 개의 근육이 서로 교차하고 있..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고황통 (등 통증 5)

고황통(등 통증)은 4번째 등뼈에서 6~7cm 정도 떨어져서 양쪽으로 존재하는 고황혈의 위치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하여 고황통이라 불린다. 고황통은 등 통증의 대표적인 통증이다. 근육의 해부학적 위치를 보면 큰마름근(대능형근, rhomboid major)의 압통점과 유사하다. 그래서 고황통 치료를 위해서 큰마름근 마사지나 도수치료 혹은 등뼈 교정을 하게 된다. 역시 고황통도 원인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 재발하게 된다. 고황통은 한 가지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고황통의 원인 고황통의 원인은 여러가지다. 그중 오늘은 목의 움직임과 관련된 고황통에 대해 알아보자. 목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고황통은 널판근과 관련이 깊다. 널판근은 머리널판근(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파란색 실선으로 표..

통증 2024.01.03

등 통증 발생 원인 4

등 통증 발생 원인 중 이번에는 척추의 안정성(stability)과 움직임과 관련된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정성은 다른 곳(특히 팔, 다리)이 움직일 때, 척추가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움직여야 될 곳만 움직여야 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굴삭기 작업을 하는데, 바퀴 부분이 계속 움직인다면 땅을 제대로 팔 수 있겠는가? 작업자는 불안을 느끼거나 심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다. 안 움직여야 할 곳이 움직이면 아프다. 안정성과 비슷한 것(엄밀히 말하면 다르지만)이 관절중심화가 있다. 관절중심화와 관련되어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이 순간회전중심(instantaneous of rotation)과 순간회전중심경로(path of instantaneous ce..

통증 2024.01.01
728x90